|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6(2):2020 > Article
혼종 모형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분석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using a hybrid model and to derive a definition and attributes of social support through theoretical, fieldwork, and final analysis stages.

Methods

Twenty-nine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theoretical stage. Sevente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ursing students in the fieldwork stage. In the final analysis stage,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was defined and the attribute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the theoretical and fieldwork stages.

Results

The attributes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identified in the final analysi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and eight attributes. The two dimensions were structural and functional support. The eight attributes were social network, educational, emotional, informational, economic, positive evaluation, self-esteem support, and support by providing a role model provision. The structural dimension included the social network support attribute. The functional dimension included the remaining seven attributes. Educational support and support by providing of a role model provision were newly derived attributes that reflecte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researchers should attempt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지지는 의지하고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지원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하도록 돕는 기능이 있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적응 및 건강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용되어온 개념이다[1-4].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간호사로서 역할 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론 및 임상실습 교육을 받고 임상수행능력을 함양해야 한다[5]. 그러나 간호대학생은 학업과 임상실습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를 해소하지 못하면 우울, 불안 등 정신 건강 문제뿐 아니라 임상수행능력 저하까지 경험하므로[2,6,7] 이에 대한 적극적 지지와 지원을 받길 원한다[8-10].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부정적 결과 간의 관계를 중재하고 지지하기 위해 그동안 많이 연구된 개념이 사회적 지지이다[2-4]. 사회적 지지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우울, 불안 등을 감소시키며, 건강 및 임상수행능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2-4,7] 간호대학생의 건강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사회적 지지 개념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3,4,11-13].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념에 포함된 다양한 속성을 확인하는 개념 분석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분석과 면담 등을 통한 현장의 실증적 자료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14,15].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이 제대로 측정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 관련 개념 분석 연구와 국내에서 자주 활용되는 도구를 확인하였다. 먼저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분석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에는 구조적, 기능적 차원이 있고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에 밀접한 관련을 갖는 중요한 개념으로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속성에는 정서적 관심, 정보 제공, 긍정적 평가, 물질적 도움, 대인관계적 지지 및 관계 지지망 지지가 있다[11-13].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분석 선행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 속성을 파악하는 연구이었고, 대상자 면담 등을 통한 실증적 자료를 확인하지 않아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간호대학생은 학업과 함께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과 과정으로 학업과 실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에 대한 지지를 받기 원하므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는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지지도 함께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8-10]. 간호대학생의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지지 요구도를 살펴본 국외연구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동안 만나는 실습지도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프리셉터 간호사, 동료 등으로부터 지지를 받길 원했고, 실습 관련 정보 및 피드백 제공, 실습동안 혼자 분리되어 있는 소외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수업 교수와 동료의 학업 관련 지지, 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학교의 지원 등도 원했다[8-10]. 국내에서는 간호대학생 대상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속성을 확인하는 연구 시도가 미흡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속성과 개념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자주 활용되는 도구는 Park [16]의 사회적 지지 척도, Oh 등[17]의 한국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Nolten [18]의 학생 사회적 지지 척도(Student Social Support Scale), Zimet 등[19]의 사회적 지지 다중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등이 있다. 제시된 도구는 일반인 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써 친구, 가족, 교사로부터 받는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 등을 측정한다. 이 도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속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도구가 아니며, 간호대학생의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지지 등을 포함한 현장의 실증적 자료를 포함하지 않아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 및 임상실습 관련 지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지지 속성과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혼종 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여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한 현장의 실증적 자료를 함께 확인하고 분석하여 개념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12].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chwartz-Barcott와 Kim [15]의 혼종 모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과 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론 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 및 속성을 확인한다.

  • 현장 단계로 현장에서 조사한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속성을 재확인하고 새로 발견된 속성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 최종 분석 단계로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속성, 현장 단계에서 재확인된 속성 간의 비교와 분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 및 속성을 도출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혼종 모형에서 제시한 이론 단계, 현장 단계, 최종 분석 단계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혼종 모형의 두 번째 단계인 현장 작업을 위해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대상자 1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심층 면담에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임상실습 경험이 한 학기 이상 있는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이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 4학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근거는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 속성 중 임상실습 관련 지지에 대한 경험을 연구자에게 이야기해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15]이 제시한 혼종 모형의 개념 분석 절차에 따라 이론 단계, 현장 단계, 최종 분석 단계로 진행하였다.

1) 이론 단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확인하였고, 사회적 지지 관련 국외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PubMed, Science direct, Wiley online library를 이용하였으며, 국내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학술정보(KISS), 디비피아(DBpia)를 이용하였다. 최신의 자료를 반영하기 위해 최근 10년 이내의 문헌을 검색하였고, 문헌 검색 시 주요어는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nursing, college, university, students이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분석 또는 내용 분석 논문, 도구 개발 논문 및 국내에서 자주 활용되는 도구 관련 문헌은 출판년도와 연구 대상에 상관없이 분석에 포함시켰다. 국내문헌은 총 16,936편이 검색되었고, 국외문헌은 총 18,128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국내외문헌 중 제목과 초록을 확인하여 사회적 지지 관련 속성이 포함되지 않은 논문 또는 원문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논문을 1차적으로 제외시켰고, 2차적으로 중복 논문을 제외시키는 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된 문헌은 총 29편이었다. 국내문헌은 주로 개념 분석 또는 내용 분석 논문이 선정되었고, 국외문헌은 도구 개발 문헌이 주로 선정되었다. 국내문헌 10편, 국외문헌 19편을 분석하여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정의를 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에 포함되는 다양한 속성을 도출하였다(Table 1).

2) 현장 단계

현장 단계의 구체적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1) 연구자의 준비

본 연구자는 질적연구를 주제로 하는 학술모임, 워크숍에 참석한 경험이 있으며, 연구 진행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관련 전문 서적과 논문을 다수 숙독하였다. 또한 질적연구 수행 경험이 있고, 간호 대학생 대상 심층면담 또는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한 경험이 있다(Figure 1).

(2) 연구 참여자 선정 방법

본 연구는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 속성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집을 위해 간호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에 구두 동의를 받았다. 간호학과 행정조교에게 한 학기 이상 임상실습 한 경험이 있고 연구에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3학년 또는 4학년 재학생을 소개받았으며, 자료가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한 연구 참여자로부터 다시 심층면담 대상자를 소개받았다(Figure 1).

(3) 자료 수집 및 심층 면담

본 연구의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였다. 심층면담 전에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면담 절차를 설명하고, 면담 내용은 녹음을 하여 분석에 활용되며, 면담 녹음 시에는 이름 대신에 면담 전에 미리 알려준 아이디 번호를 사용할 것을 고지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면담 중이라도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한 후에 동의서를 받고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학교 휴게실, 교실, 카페 등 연구 참여자와 사전에 미리 조율하여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장소로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 질문은 연구자가 모두 함께 초안을 구상하고 검토한 후 질적연구에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2인에게 자문을 받았다. 심층면담의 주요 질문 내용은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본인이 경험한 사회적 지지는 무엇입니까?”, “본인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사회적 지지는 무엇입니까?”, “본인이 학교와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교육적 지지는 무엇입니까?”, “본인에게 간호의 롤 모델을 제공해 준 지지의 경험이 있습니까?”, “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빈도는 어떻습니까?”, “가장 이상적인 사회적 지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등이다. 면담 자료는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수집하였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40~90분이었다(Figure 1).

(4) 자료 분석

심층면담 자료는 Morse와 Field [20]의 고전적 내용 분석 방법(conventional 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들은 필사된 면담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사회적 지지 속성을 내포하고 있는 대상자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진술문 중 상호 연관성이 있는 문장을 묶어 코드(code)를 생성하였다. 셋째, 상호 연관성이 있는 코드를 묶어 하위 범주(subcategory)를 생성하였고, 하위 범주를 묶어 범주(category)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할 때, 혼종모형에서 사용한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 하위 범주는 지표(indicators), 범주는 속성(attributes)으로 제시하였다(Figure 1).
연구의 엄밀성 확보는 신뢰성, 적합성, 감사 가능성 및 확인 가능성으로 확인하였다. 신뢰성 유지를 위해 중립적 태도로 참여자의 진술을 경청하였고, 적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면담을 시행하였다. 감사 가능성을 위해 연구 결과를 연구 참여자 2인과 전문가 2인에게 다시 확인받는 과정을 거쳤으며, 확인 가능성을 위해 연구 참여자의 말을 직접 본문에 인용하였다.

3) 최종 분석 단계

최종 분석 단계에서는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개념 및 속성, 현장 단계에서 재확인된 속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을 정의하고 속성을 도출하였다.

4.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군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1040117-201906-HR-010-02)을 받은 후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학기 수업과 임상실습이 종료되고, 성적과 학점 부여가 종료된 이후부터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자에게만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시작 전에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면담 내용은 익명성 보장을 위해 아이디 번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어떠한 개인정보도 포함되지 않도록 유지할 것임을 고지하였다. 또한 연구 관련 자료는 연구자만이 접근가능한 개인 컴퓨터에 암호화하여 보관하고, 연구 결과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논문이 게재된 이후에는 모든 연구 관련 자료를 폐기할 것임을 고지하였다. 면담 종료 후에는 2만원 상당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1.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 및 속성

1) 사회적 지지의 사전적 의미

‘사회’의 사전적 의미는 동일한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이며, ‘지지’의 사전적 의미는 따뜻하게 수용하고,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키며, 힘과 기운을 북돋고 지원하는 것이다[21,22]. 간호학 사전에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을 둘러싼 타인으로부터 얻는 도움이다[23].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집단 속에서 개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고 힘과 기운을 북돋기 위해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제공된 도움과 원조’라고 정의된다.

2) 타 학문에서 사회적 지지

사회심리학, 행동과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 사회적 지지는 구조적 및 기능적 지지로 분류하며, 속성은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자아존중감, 관계망 지지가 포함된다[11,18,19,24-26]. 정서적 지지는 타인으로부터의 관심, 배려, 공감 등의 정서적 지원을 받는 것이며, 정보적 지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하도록 돕는 정보 또는 충고를 제공 받는 것이다. 물질적 지지는 실제적으로 제공되는 경제적 도움이나 물질적 지원을 의미하며[11,18,24-26], 평가적 지지는 자기 자신의 평가에 대한 긍정적 지지이다[18]. 자아존중감 지지는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능력, 생각, 행동 등이 존중받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25,26], 관계망 지지는 개인이 소속된 지지망의 수, 접촉 빈도, 기간 등을 포함한다[11,19,24].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사회적 지지는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분류되며, 구조적 지지에는 관계망 지지가 포함되고, 기능적 지지에는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자아존중감 지지가 포함된다.

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는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 동료 지지, 교수 또는 멘토의 지지가 포함된다[8-10,27-30]. 구체적으로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에는 첫째,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 학교 선배 등으로부터의 학업적 지지, 둘째, 가족으로부터의 학업 관련 지지, 셋째, 학교에서 제공되는 도구적 지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동료 지지에는 상하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 측면의 지지가 강조되고, 이를 통해 학습 지지를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8-10,27,28]. 마지막으로 교수 또는 멘토의 지지에는 학생에게 모범이 되는 롤 모델 제공과 지지가 포함된다[29,30]. 또한 사회적 지지에는 정서적 관심, 정보 제공, 긍정적 평가, 물질적 도움이 포함되고, 사회적 지지의 선행 요인은 스트레스나 위기 사항에 노출이며, 결과는 스트레스와 위기 상황에 적응 및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이다[12,13].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에는 교육적 지지, 동료 지지, 교수 또는 멘토의 지지가 포함되고, 교육적 지지에는 교수자의 학업적 지지와 정보 제공, 학교측의 물질적 도움 등의 도구적 지지가 포함된다. 동료 지지에는 학습 지지, 정서적 관심과 지지, 긍정적 평가가 포함되고, 교수 또는 멘토의 지지에는 롤 모델 역할 제공, 긍정적 평가가 포함된다. 사회적 지지의 선행 요인은 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이고 사회적 지지의 결과는 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의 극복과 적응, 건강 및 삶의 질 증진이다.

4)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 정의와 속성

(1)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 정의는 사회적 집단 속에서 개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고[12,21], 힘과 기운을 북돋기 위해[12,22]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제공된 도움[11,18,19,23]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다.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나타나며, 사회적 지지의 효과는 대상자가 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여 적응하고, 더 나아가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12,13].

(2)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속성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는 2개 차원, 8개 속성으로 구성된다(Table 2). 2개 차원은 구조적 및 기능적 지지 차원이며,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존중감 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이다.
구조적 지지 차원에는 사회적 관계망 지지가 포함되고, 친밀하게 지내는 지지 그룹의 크기, 숫자, 빈도 등을 의미하며, 개인이 소속된 관계망의 크기, 접촉 빈도 등을 포함한다[11-13,24,27,28]. 기능적 지지 차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지지는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지지로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 학교 선배 등으로부터의 학업적 지지 및 정보 제공, 학교에서 제공되는 지원 등이 포함된다[8-10,27-30]. 둘째, 정서적 지지는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사랑, 신뢰, 관심, 배려, 공감 등의 정서적 관심 또는 지지를 받는 것이며, 가족 지지와 친구(동료) 지지가 포함된다. 특히, 친구(동료) 지지는 상하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측면의 지지가 강조되고, 이를 통해 학습과 그와 관련된 정서적 지지를 제공받는 것이다. 셋째, 정보적 지지는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또는 충고를 제공 받는 것이다[11,18,24-26]. 넷째, 물질적 지지는 실제적으로 제공되는 경제적 도움이나 물질적 지원을 의미하며[11,18,24,26], 다섯째, 긍정적 평가 지지는 자기 자신의 평가에 대한 긍정적 지지이다[18]. 여섯째, 자아존중감 지지는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능력, 생각, 행동 등이 존중받고 있는 정도에 대한 평가이고[25,26], 일곱째, 롤 모델 제공 지지는 교수 또는 멘토의 지지로 학생에게 모범이 되는 롤 모델 제공이다[29,30].

2. 현장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속성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총 17명이며, 남학생 7명, 여학생 10명이었다. 학년은 3학년 13명, 4학년 4명이었고, 연구 참여자의 나이는 20~31세로평균 나이는 22.6±3.3세였다. 임상실습 경력은 6~22주였고, 평균 임상실습 경력은 9.53±6.62주였다.

2) 현장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속성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진술문 187개가 추출되었고, 상호 연관성을 가진 진술문을 묶어 41개 코드를 생성하였다. 상호 연관성이 있는 코드를 묶어 하위범주 13개를 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상호 연관성이 있는 하위범주를 묶어 최종적으로 8개 범주를 도출하여 현장 단계에서 확인된 사회적 지지 속성은 2개 차원, 8개 속성이었다(Table 3). 2개 차원은 구조적 및 기능적 지지 차원이며,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존중감 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이다. 현장 단계에서 추가로 확인된 속성은 도출되지 않았다.

(1) 구조적 지지 차원

구조적 지지 차원에는 사회적 관계망 지지가 포함되고, 개인이 소속된 관계망의 크기, 접촉 빈도를 포함한다.

① 사회적 관계망 지지

‘사회적 관계망 지지’에는 개인이 소속된 관계망의 크기, 접촉빈도가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은 사회적 관계망으로 가족, 교수, 학교 친구, 학교 밖 친구, 선후배를 포함시켰고, 학교 친구는 거의 매일 접촉, 그 외는 가끔 접촉한다고 하였다.
  • 5그룹, 4그룹 정도 되는 것 같고 크기는 한 30명 내외입니다. 가족이라든지 선후배 관계, 학우 관계, 고향 친구들, 형제 정도. 가족 같은 경우는 제가 타지에 지금 와있어서 한 달에 한 두 번 정도 밖에 못 만나고요. 기간은 고향으로 가는 거니깐 한번 가면은 하루 종일 같이 있는 것 같아요. 선후배 같은 경우는 아는 선배들은 거의 다 졸업하거나 어쩌다 한 번씩 마주치는 그런 정도여서 접촉 빈도가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한번 만나면 같이 밥을 먹는 다던가 술자리를 갖는 다던가 그 정도 한번 만나면 3, 4시간씩, 학우들은 아예 학교생활도 같이 하고 학교가 끝나면 공부를 한다거나 게임을 한다거나 아예 같이 매일 만나고 거의 하루 종일 같이 있는 것 같아요, 고향 친구들도 지금 다 뿔뿔이 흩어져가지고 월 1, 2회 정도 만나고 만나면 거의 하루 종일 같이 있죠.(ID 10)

  • 저는 사회적 그룹은 가족, 친구. 친구는 대학교 친구랑 고등학교 대학교 친구를 나눠가지고 남자친구도 포함. 숫자는 가족은 3명이고 대학교 친구는 한 열 명 정도 있고 고등학교 친구는 한 일곱 명 그리고 중학교 친구는 두 명 있어요. 교수님도 한 분 포함. 가족은 한 달에 두세 번 이고요. 그리고 친구는 일주일에 다섯 번, 교수님도 일주일에 다섯 번 뵙고요.(ID 13)

(2) 기능적 지지 차원

기능적 지지 차원은 교육적,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긍정적 평가, 자아존중감, 롤 모델 제공 지지가 포함되었다

① 교육적 지지

‘교육적 지지’에는 지도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 선배의 지지 및 학교의 지원이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은 교육적 지지로 학업과 실습 관련 정보 제공, 직접 간호와 사례 연구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학교의 학업 관련 지원도 받았다.
  • 지도 교수님은 학점 관리라든가 졸업 조건이라든가 그런 거 관리 잘 해주시는 것 같아요. 자격증 관리 등도요.(ID 3)

  • 교수님이 매 학기마다 개별 상담을 하는데, 상담을 하면서 한 학기 동안 뭘 했는지 제가 생각했던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 여쭤봐 주시고 학업에 필요한 정보를 여쭤보면 구체적으로 잘 알려주시고 그리고 내가 가고 싶어 하는 대학병원 등 그 병원에 관련 되서 메리트나 그런 관련된 정보들에 대해서 잘 알려주시는 것 같아요.(ID 13)

  • 임상현장 지도자는 어떤 액팅 보여주면서 가르쳐 주고, 이런 거를 하라고 말씀을 해주셔서 제가 정보를 받아쓰기 때문에 직접적인 부분에서 정보를 제공해주시는 것 같고요.(ID 12)

  • 임상현장 지도자는 모르는 게 있으면 저희가 물어보면 잘 알려주시기도 하고 또 이제 저희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저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세요.(ID 13)실습지도 교수님은 실습 기간 동안에 그룹끼리 케이스도 하고 컨퍼런스도 하고 그래서 여러 정보 제공도 받고 제일 지지가 되는 것 같아요.(ID 7)

  • 학업적으로 실습지도 교수님 같은 경우에도 실습 나가기 전에 사전관리 이런 거 하잖아요. 그러면서 쓰고 넘기는 거 그런 거뿐만 아니라 직접 썼던 거를 직접 저한테 물어보면서 제가 제대로 인지하고 있나 그런 거 확인하면서 제가 더 잘 할 수 있게 해주셨던 것 같아요.(ID 8)

  • 학교 선배님은 대학교 병원을 준비하고 있어가지고 그거에 대한 팁도 많이 알려주시고 시험공부 같은 거도 어떤 문제집을 풀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잘 알려주는 편이예요.(ID 13)

  • 자기 주도적 스터디 그룹을 하는데, 그거를 신청을 해서 하는데, 공부하는 데에 필요한 비용 같은 거 지지해주시고, 저희는 그거에 대해서 결과물 작성해서 제출하는 그런 거를 하고 있습니다. 전공과목 하는 게 혼자서 하는 것보다 그룹으로 하는 게 좀 더 효율적이니깐 그거를 겨냥하고 다 같이 모여가지고 스터디하는 식으로 하면은 교재비나 복사하는 데에 드는 비용들, 간식 비용 등을 지원해주세요.(ID 14)

② 정서적 지지

‘정서적 지지’에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은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신뢰, 스트레스 해소 등의 지지를 받았다.
  • 제가 막 힘들어도 제가 먼저 말을 잘 안하는 편이란 말이에요. 그거를 친구가 먼저 알고, 그래 보이면 알고 물어보면서 제가 말을 꺼낼 수 있게 도와주면서 이런저런 조언도 해주는데 그게 저한테는 정서적으로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학습도 제가 이렇게 스트레스를 학업에 대해서 받으면 그럴 때마다 너무 이것만 집중하고 있으면 제 스스로 스트레스 받아가지고 머리 꼬고 있고 그러고 있는데, 그런 거 보면 친구가 먼저 편의점 같이 가자고 그러면서 그냥 그런 게 지지가 됩니다.(ID 8)

  • 저희 가족은 저를 많이 믿는 편이어서 공부에 관해서 공부해라고 스트레스를 준적이 없어가지고 ‘알아서 잘 하겠지.’ 라는 게 있어서 믿는 편이어서 그 믿음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ID 17)

③ 정보적 지지

‘정보적 지지’에는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받은 정보적 지지의 자원을 포함하며, 인터넷 정보, 타 학교 동료, 서적 및 학과 친구로부터 정보적 지지를 받았다.
  • 간호대 친구들은 인터넷 간사모나 이런 홈페이지 도움을 되게 많이 받더라고요. 그런 데에 자료 올려놓는 사람들도 많고 애들도 그런 거 보면서 면접 정보나 그런 거 얻고 그런 사이트를 보면서 겨우겨우 얻어 가는 거죠. 실습에서 만난 다른 친구들의 도움도 많이 중요한 것 같아요. ‘이 수업을 처음 듣는데 잘 모르겠다.’하면 어차피 간호학과는 다 필수적으로 다 똑같이 배우는 거니깐 이렇게 해서 모르는 거 있으면 다른 학교 친구들한테 물어보러 간다던지 아무래도 다른 과 친구들보다는 간호학과라는 특수성이 더 부각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특수성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 정보를 주고받거나 지지 하는 게 되게 중요한 것 같아요.(ID 4)

  • 전 힘들 때 책 같은 거, 책은 사람들이 어려운거를 겪었을 때 그 사람들이 어떻게 헤쳐 나가야 되는지 담겨 있다고 생각해요.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대신 읽을 수 있는 것 같아서 힘들 때 조금 계속 방안을 찾는 것 같아요. 제가 좀 다양한 활동하는 거를 좋아하는데, 제가 ‘안 되고 있는 것 같다’라고 생각이 들면 ‘아, 너는 최고다’라는 말을 해주는 것 같아요. 그럼 조금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개선이 되는 것 같아요. 지치고 힘들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 어려우면은 좀 다른 사람들이 고생했던 책을 읽으면서 ‘나만 힘든 게 아니고 이 사람은 이러한 힘든 상황을 겪었을 때 이런 방법으로 대처해서 나갈 수 있었구나’를 알고 그것을 가지고 도움을 받는 것 같아요.(ID 9)

④ 물질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는 간호대학생이 받았던 경제적 지원 종류가 포함되었고, 간호대학생은 장학금, 자격증 취득, 영어 공부, 자기주도 학습, 해외 연수 및 부모님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
  • 장학제도가 있는데, 성적 장학금이나 이런 거 있는데, 저는 그게 국가 장학금을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는데, 저는 성적도 저희 학교 장학금이 워낙 저렴하다 보니깐 장학금이 다른 학교에 비해서 그렇게 다양하지는 않아요. 제가 알기로는 1등부터 10등까지 일단 다 주고 그 다음에는 소득분위가 너무 높아서 장학금 신청을 안한 친구들한테 주는 걸로 알고 있는데, Microsoft Office Specialist (MOS)나 Basic Life Support(BLS) 자격증 이런 게 있다고 해서 신청을 하게하고, MOS 같은 경우에는 학교에서 돈을 지원해 주셨습니다. 모의 토익 같은 경우 같은 것도 아마 모의 토익은 강의를 열라면 학교 측에서 돈을 내야 돼 가지고 그런 것도 해주십니다.(ID 4)

  • 학교에서 자격증 관련 프로그램 같은 거 응시비, 교육비 학교에서 지원해주고, 프로그램 만들어서 참여 요구해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지원해주고, 졸업 여건에 포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자격증 이런 거. 제가 이런 쪽에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는... 제가 받는 거는 아닌데 성적 우수한 학생들 뽑아서 해외로 연수 보내주기도 하고 보통 2학년 때나 3학년 때... 등록금이나 생활비 이런 것은 집에서 다 지원 받거든요. 아르바이트 이런 거도 안하고 학교 다니는데 드는 돈은 집에서 다 지원받으면서 가족 외에는 딱히 없습니다.(ID 10)

⑤ 긍정적 평가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았던 경험을 의미하며, 간호대학생은 친구, 환자, 간호사, 지도 교수로부터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 저는 친구들한테 제일 많이 듣는 말이 ‘너랑 있으면 힘이 난다’ 이런 말을 많이 듣는단 말이에요. 그래서 자신감을 얻는다고 그래야 되나? 실습 나가면 환자분들도 ‘너 딸 같다. 손녀딸 같다. 열심히 해서 보기 좋다. 기특하다.’ 이러신단 말이에요. 그러면 힘이 나고 자부심도 나고. 그리고 친구들이 ‘다리 아파 죽을 것 같아’ 이러면 제가 ‘힘들지마.’ 이렇게 한마디 해주면 ‘너 너무 웃겨, 너 너무 재밌어’ 이러는 게 있는 것 같아요.(ID 1)

  • 저는 병원 실습지에서 ‘열심히 해야겠다’라는 생각으로 간호사 선생님들 따라 다니면서 이것저것 여쭤보고 공부하고 그랬었는데 선생님이 그런 태도가 좋으셨는지 먼저 물어보지 않아도 알려주시고, ‘고생하고 잘한다. 기특하다.’라는 식으로 말해주셔서 저는 뿌듯했습니다.(ID 14)

  • 지도 교수님이랑 상담할 때 성적 부분에 대해서 제가 조금씩 올라가는걸 보고 칭찬해주시고 더 갈 수 있다고 격려해주시고 상담받고 나면은 더 의지가 생겨나요.(ID 14)

⑥ 자아존중감 지지

‘자아존중감 지지’는 존중 받았던 경험을 의미하며, 간호대학생은 친구, 친한 동생 등으로부터의 존중받은 경험을 하였다.
  • 항상 살면서 남한테 욕보이지 말자, 피해 끼치지 말자는 모토로 살고 있어서 타인이 저를 무시 안했으면 하는 생각으로 좀 ‘보통보다 잘하자’라는 생각을 해서 존중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그래서 다른 친구들이 어떤 것들에 대해 이렇다 말해도 저는 그렇게 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노력하고 있어요. 그래서 친구들이 저를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제 친구들이 저에게 항상 하는 말이 ‘너는 자존감이 높다’ 하거든요. 아까 제가 했던 말을 하기 위해 자신감을 표출한다고 해야 하나...아니어도 그렇게 하려고 하니까 ‘넌 정말 자존감 높다.’ 하는 것 같아요.(ID 3)

  • 제가 자존감이 낮은 편인데 제가 편한 동생이 있는데 제가 항상 자존감 낮아하고 생각이 많아 보이니깐 약간 그런 자존감을 높여주는 그런 책을 선물해줬어요. 그런 거를 받거나 도움을 받을 때마다 제가 ‘존중받고 있구나.’ 라는 생각, ‘누군가에게 소중한 사람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ID 13)

⑦ 롤 모델 제공 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는 모범이 되는 롤 모델을 제공받은 경험을 의미하며, 간호대학생은 임상현장 지도자, 지도 교수, 교과목 담당 교수로부터 자신이 되고자 하는 롤 모델을 제공 받은 경험을 하였다.
  • 액팅하는 선생님이 뭔가를 놓쳐서 다른 부서한테 면박받는 전화를 받은 적이 있어요. ‘뭐 이런 것도 안 해주고 환자를 그냥 보내요.’ 이런 거 있을 때 선생님이 되게 속상해하고 있을 때 수선생님이 ‘우리 간호사한테 이러지 말고 나한테 말하라’고, ‘내가 책임자니깐 나한테 말하세요’ 이렇게 통화하시는 것을 보고 ‘와 멋있다.’ 약간 안 친했던 선생님이긴 한데 ‘이렇게 자기 팀을 생각하시는 분이 계시는구나.’ 싶어가지고 그런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고 생각했어요.(ID 1)

  • 지도 교수님 항상 찾아뵈러 갈 때 마다 웃는 표정으로 맞이해주시고 아직 수업은 들어보지 않았지만 교수님이랑 이야기를 나눠보면 ‘저런 생각도 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받았습니다. 예를 들면 임상에서 제가 생각했을 때는 ‘진짜 힘들겠다. 진짜 하기 싫겠다.’ 그런 상황에서 교수님은 조금 더 넓은 눈으로 이런 상황에서는 이런 기분이 들겠지만 다른 이익을 위해서 환자의 이익을 위해서 이 정도는 우리가 감수해야 된다. 저희가 철없이 하는 말들을 다른 방면으로 돌려주시면서 이해 시켜주시는 거.(ID 14)

  • 00간호학 가르쳐 주신 분인데 그 교수님께서 엄하실 때는 엄하시게 하시거든요. 그런데 실습 나와서 상담할 때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생각하게 해주시고 저는 00과 계열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그런 쪽 잘 어울릴 것 같다, 필요한 것들도 생각해주시는 게 어떻게 보면 교수님 입장에서는 다 똑같은 학생일 수도 있는 거잖아요. 그런데 한 명, 한 명 보면서 제 개인을 생각해주시는 모습이 저도 나중에 교육자에 길을 걸을지 안 걸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모습들은 어느 상황에서나 쓸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교수님처럼 한 명, 한 명을 봐줄 수 있는 능력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어요.(ID 16)

3. 최종 분석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 및 속성

최종 분석 단계는 이론 단계와 현장 단계의 결과를 비교, 통합하는 과정으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정의를 내리고 두 단계에서 도출된 속성을 비교하여 통합하였다(Table 4).

1)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개념 정의

최종 확인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 집단 속에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위기를 완화하고, 힘과 기운을 북돋기 위해 주변 타인과 학교로부터 제공된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 존중감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다.

2)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

이론 단계 및 현장 단계를 통합하여 확인된 사회적 지지 속성은 2개 차원, 8개 속성이었다. 2개 차원은 구조적, 기능적 차원이었고,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교육적,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긍정적 평가, 자아존중감, 롤 모델 제공 지지이었다(Table 4).
이론 단계에서 확인된 차원과 속성을 기반으로 현장 단계에서 속성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쳤고, 이론 단계와 현장 단계의 속성은 비슷한 뜻을 내포하는 경우에 혼돈을 주지 않도록 동일하게 명명하였다. 현장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도출된 속성은 없었으며, 속성 내에 포함된 지표는 이론 단계에서는 좀 더 추상적이었고, 현장 단계에서는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좀 더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최종 확인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은 2개 차원, 8개 속성이다. 간호대학생은 가족, 교수, 친구, 선후배 등을 자신이 거의 매일 또는 가끔 접촉하는 사회적 관계망 지지 체계라고 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지도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 선배로부터 학업과 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를 받고, 학교로부터 학업 관련 지원도 받았다. 또한 가족과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 스트레스 해소 등의 정서적 지지를 받았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통해 정보적 지지도 받았다. 부모님의 경제적 지원 외에도 학교에서 장학금, 자격증 취득, 영어 공부, 해외 연수 등으로 물질적 지원을 받았고,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등으로부터 경험한 롤 모델 지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존중받는 경험도 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이론 단계와 현장 단계에서 동일하게 2개 차원, 8개 속성이 도출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의 2개 차원은 구조적 지지 차원과 기능적 지지 차원이며,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존중감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로 확인되었다.
첫째, 구조적 지지 차원에는 사회적 관계망 지지가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가족, 교수, 학교 내 친구, 선후배, 학교 밖 친구였고, 접촉 빈도는 매일 또는 가끔이었다. Kim과 Kim [13]은 사회적 지지로 사회적 지지망의 수, 기간, 접촉빈도를 포함시켰고, Jacobs [27]는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접촉 빈도를 포함시켰으며, Warshawski 등[28]은 사회적 지지망의 크기, 숫자 등을 포함시켜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사회적 관계망을 자신이 주로 활동하는 학교 그룹 내 관계로 인식하였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였다. 고향 친구와 타 학교 친구 또한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으로 인식하는 측면이 있으나 이들과는 가끔 보는 관계이므로 자주 접촉하고 만나는 관계보다 사회적 관계망으로 인식하는 수준이 낮았다. 임상실습에서 만나는 간호사,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는 사회적 관계망으로 인식하지 않은 만큼 간호대학생은 자신이 소속된 사회적 관계망을 자주 접촉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학교 그룹 내 관계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관계망은 관계 대상이 누구인지 보다 접촉 빈도와 기간이 더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사회적 관계망과의 접촉 빈도, 횟수, 기간 등을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기능적 지지 차원에는 교육적 지지가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은 지도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실습지도 교수로부터 학업과 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를 받고, 학교 선배에게도 학업 관련 도움을 받길 원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학업 관련 교육적 지원을 받길 원했다. 교육적 지지는 간호 학문에서 사회적 지지 속성을 확인할 때 도출된 속성이다. Price 등[8]은 임상실습 동안 간호대학생에게 학업 관련 지지가 필요하며, Arribas-Marin 등[9]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지지 속성으로 프리셉터, 임상현장 지도자, 학교의 지지를 포함시켰고, Ooms 등[10]도 학업 관련 교수와 임상현장 지도자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Jacobs [27]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배의 학업 관련 지지가 필요하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본 연구와 차이점은 본 연구에서는 실습지도 교수의 지원을 받길 원했고, 선행 연구에서는 프리셉터의 지원을 받길 원했다. 국내 간호교육에서 프리셉터는 학생 교육이 아닌 간호사 교육을 담당하고, 학생 교육은 임상현장 지도자와 실습지도 교수의 책임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교육적 지지는 간호대학생의 학업량,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과 과정 특성이 반영된 사회적 지지의 속성이며, 이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간호학문의 교과 과정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간호학과와 실습기관은 주기적 협력 관계를 통해 간호대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교수는 학생의 학업적 지지 요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학교의 지원, 멘토-멘티 제도가 시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이론과 실습 관련 교육적 지원 체계를 구성 요소로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능적 지지 차원에는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긍정적 평가 지지도 포함되었는데, 이는 기존 선행문헌에서 사회적 지지로 자주 포함되었던 속성이다. Kim과 Kim [13]은 사회적 지지의 속성으로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긍정적 평가 지지를 포함시켰고, Warshawski 등[28]은 가족과 친구의 돌봄 지지를 포함시켰으며, Kim 등[12]은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를 포함시켰고, Nolten [18]은 사회적지지의 유형으로 평가적 지지를 포함시켜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가족과 친구로부터 정서적 관심과 지지를 받길 원했고, 경제적 지원도 원했다. 또한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친구, 간호 대상자, 간호사와 지도 교수에게도 받길 원했다. 이론 단계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지지로 확인되었던 것이 현장 단계에서는 친구, 지도 교수뿐만 아니라 임상실습에서 대면하는 간호대상자와 간호사에게도 긍정적 평가를 받기를 원하는 좀 더 포괄적인 측면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육 과정으로 인해 평가를 학교와 실습기관에서 모두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이 반영되어 학교에서 만나는 친구와 지도 교수뿐만 아니라 실습기관에서 마주하는 간호대상자와 간호사에게도 긍정적 평가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러한 부분을 도구 및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능적 지지 차원에는 자아존중감 지지도 포함되며, 간호대학생은 친구, 친한 동생으로부터의 존중받은 경험을 사회적 지지로 지각하였다. Timmerman 등[25]과 Nick 등[26]은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를 개발할 때, 자아존중감 지지를 포함시켜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자아존중감은 타인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긍정적 가치를 평가받는 것으로 자신감 있게 행동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25]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속성으로 반드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적 지지에 대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면서 새롭게 인지한 부분은 다른 사회적 지지 속성에 비해 자아존중감 지지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부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능적 지지 차원에 포함된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는 많은 선행문헌에서 사회적 지지 속성으로 포함시키는 반면 자아존중감은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자아존중감 지지는 간호대학생을 심층면담한 결과에서도 재확인된 속성인 만큼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도구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 시에 구성요소로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기능적 지지 차원에는 롤 모델 제공 지지가 포함되었고, 이는 간호학문에서 사회적 지지 속성을 확인할 때 교육적 지지 속성과 함께 도출된 간호대학생의 특성이 반영된 속성이다. 간호대학생은 임상현장 지도자, 지도 교수, 교과목 담당 교수를 자신이 되고자 하는 롤 모델로 지각하였다. Foster 등[29]은 간호대학생의 멘토십에 대한 경험과 기대 정도를 확인한 결과, 멘토는 동료나 선배가 아닌 간호사 또는 임상현장 지도자를 의미하며, 간호대학생은 좋은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멘토를 원했고, 기대하는 멘토의 모습은 전문적 태도로 행동하며, 어떠한 긴장감도 주지 않는 모습이었다. 또한 Ingraham 등[30]은 간호대학생과 교수 간의 관계에서 교수의 멘토십과 접근성에 대한 연구에서 교수의 멘토십은 학생과의 상하 관계가 아닌 공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며, 접근성은 학생이 지지를 받고 싶을 때 언제든지 교수에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상적 롤 모델상을 제시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직접 경험하고, 향후 되고 싶은 현실적 롤 모델이 제시되었다. 심층면담에서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롤 모델 경험만을 측정하였지만, 향후 도구 개발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롤 모델에 대한 측면도 함께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자신이 되고자 하는 롤 모델을 경험하는 것이 간호대학생에게는 사회적 지지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간호대학생의 특성과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이 부분을 향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이용하여 이론 단계와 현장 단계를 통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개념 및 속성을 최초로 분석하고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은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 및 자신이 되고자 하는 롤 모델을 제공 받는 지지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도모하여 적응력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며, 간호대학생 대상 사회적 지지 관련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참여자가 일부 지역의 학교 재학생에 국한되어 모든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반영하지 못한 점이다.

결 론

본 연구는 혼종 모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최종 확인된 사회적 지지 개념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위기를 완화하고, 힘과 기운을 북돋기 위해 주변 타인으로부터 제공된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존중감 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다. 최종 확인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속성은 2개 차원, 8개 속성으로 구성되며, 2개 차원은 구조적 지지 차원, 기능적 지지 차원이고, 8개 속성은 사회적 관계망 지지, 교육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긍정적 평가 지지, 자아존중감 지지, 롤 모델 제공 지지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특성으로 학업과 임상실습 관련 교육적 지지 및 롤 모델 제공 지지가 도출되었다. 간호대학생은 학업과 실습을 병행하는 힘든 과정에서 다양한 주변의 지지자로부터 교육적 지지와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였고, 향후 자신이 되고자 하는 이상적 롤 모델도 자신을 지지해주는 지지 체계로 지각하였다. 간호교육의 특성 상 이론과 실습이 병행되는 교육과정으로 간호대학생은 교수, 동료, 선후배뿐만 아니라 임상현장에서 만나는 실습지도 교수, 임상현장 지도자, 간호사를 교육을 지지해주는 자원 및 롤 모델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다양한 교육과 임상 현장에서 이를 적용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Notes

No existing or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Cobb S. Social supports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314.
crossref pmid
2. Yoo KH. A mediator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for college life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9;25(1):125-135.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1.125
crossref pdf
3. Park S, Choi M, Lee S.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adaptation and clinical competence. Nurse Education Today. 2019;72:67-72. https://doi.org/10.1016/j.nedt.2018.11.009
crossref pmid
4. Oh JW, Moon YS.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0):391-403.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391
crossref
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valuation of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in the first half of 2019: A college manual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9 [cited 2020 April 1].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view.php?&bbs_id=kab01&page=2&doc_num=657

6. Yang YK, Han KS, Bae MH, Yang SH.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ollege student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4;22(1):23-34. https://doi.org/10.17547/kjsr.2014.22.1.23
crossref pdf
7. Park SH, Byun EK.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2):8284-8291.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284
crossref pdf
8. Price L, Hastie L, Duffy K, Ness V, McCallum J. Support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views on the role of the lecturer. Nurse Education Today. 2011;31(8):780-784. https://doi.org/10.1016/j.nedt.2011.04.009
crossref pmid
9. Arribas-Marin J, Hernandez-Franco V, Plumed-Moreno C.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cademic support in the practicum: 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strument.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7;33(5):387-395.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7.03.001
crossref
10. Ooms A, Fergy S, Marks-Maran D, Burke L, Sheehy K. Providing learning support to nursing students: A study of two universiti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3;13(2):89-95. https://doi.org/10.1016/j.nepr.2012.07.011
crossref pmid
11. Kim MR. The theory of a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05;2(1):99-121.

12. Kim MH, Kim YH, Kim EH, Park MK, Seo NS, Park OJ. A concept analysis of social support.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2000;5(1):15-27.

13. Kim YS, Kim JM. Social support: A concept analysi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001;19(2):163-172.

14. Ko IS, Choi SY, Kim J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ew version of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0;50(1):132-146. https://doi.org/10.4040/jkan.2020.50.1.132
crossref pmid
15. Schwartz-Barcott D, Kim HS.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2000. p. 129-159.

16.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127.

17. Oh KS, Oh KO, Lee SJ, Kim JA, Jeong CJ, Kim HR, et 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881-890. https://doi.org/10.4040jkan.2008.38.6.881
crossref pmid
18. Nolten PW.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issertation]. Wisconsi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4. p. 1-180.

19.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crossref
20. Morse JM, Field P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995

21. Kim CK, Lee SY, Lee YJ, Jeong JJ, Choi WY. Counseling dictionary. 1st ed. Seoul: Hakjisa corporation; 2016

22.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terne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9 [cited 2019 June 20]. Available from: https://opendic.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01391&viewType=confirm

23.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Mosby's medical, nursing and allied health dictionary. 6th ed. Seoul: Hyunmoon Publishing Company; 2002

24. Pierce GR. Social support in couples: Marriage as a resource in times of stress, by Carolyn E. Cutrona.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7;59(2):1-494. https://doi.org/10.4135/9781483327563

25. Timmerman IGH, Emanuels-Zuurveen ES, Emmelkamp PMG. The Social Support Inventory (SSI): A brief scale to assess perceived adequacy of social support.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2000;7(5):401-410. https://doi.org/10.1002/1099-0879(200011)7:5<401::AID-CPP253>3.0.CO;2-I
crossref
26. Nick EA, Cole DA, Cho SJ, Smith DK, Carter TG, Zelkowitz RL.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2018;30(9):1127-1143. https://doi.org/10.1037/pas0000558
crossref pmid pmc pdf
27. Jacobs S. A scoping review examining nursing student peer mentorship.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7;33(3):212-223.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6.09.004
crossref pmid
28. Warshawski S, Itzhaki M, Barnoy S. The associations between peer car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to nurse students' caring perception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8;31:88-94. https://doi.org/10.1016/j.nepr.2018.05.009
crossref pmid
29. Foster H, Ooms A, Marks-Maran D. Nursing student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mentorship. Nurse Education Today. 2015;35(1):18-24. https://doi.org/10.1016/j.nedt.2014.04.019
crossref pmid
30. Ingraham KC, Davidson SJ, Yonge O. Student-faculty relationships and its impact on academic outcomes. Nurse Education Today. 2018;71:17-21. https://doi.org/10.1016/j.nedt.2018.08.021
crossref pmid

Figure 1.
Flow diagram of fieldwork stage.
chnr-26-2-222f1.jpg
Table 1.
Reference List for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N=29)
No Author Year Title Extracted dimension and attributes
1 Ingraham, Davidson, & Yonge 2018 Student-faculty relationships and its impact on academic outcomes Educational support
Support from professors
Professors' provision of a fair and empathetic relationship
2 Kocalevent et al. 2018 Social support in the general population: standardization of the Oslo social support scale Social network: number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3 Nick et al. 2018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elf-esteem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Instrumental (material) support
4 Warshawski, Itzhaki, & Barnoy 2018 The associations between peer car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to nurse students' caring perceptions Peers' academic support
Peers' emotional support
Social network: size, number
Family's emotional support
5 Arribas-Marin, Hernandez-Franco, & Plumed-Moreno 2017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cademic support in the practicum: 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strument Educational support
Peers' support
Preceptor support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Support from the university
6 Jacobs 2017 A scoping review examining nursing student peer mentorship Social network: size, contact frequency
Seniors' academic support
7 Walker et al. 2016 Indicator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learning journey: an integrative review Educational support
Support from professors
Clinical agency staff support
Family support
Learning support from the university
8 Foster, Ooms, & Marks-Maran 2015 Nursing student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mentorship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Support from mentors
Support by providing a role model
9 Ooms et al. 2013 Providing learning support to nursing students: a study of two universities Educational support
Support from professors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Learning support from the university
10 Gidman et al. 2011 Student perceptions of support in practice Support from mentors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11 Price et al. 2011 Support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views on the role of the lecturer Educational support for clinical practice
Emotional support
Mentos' support
12 Park 2010 A content analysis of teachers' social support exp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Behavioral support
13 Lett et al. 2009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at increased psychosocial risk recovering from myocardial infarction Emotional support
Social network
Dimensions: structural and functional
14 Oh et al. 2008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Feeling of connectedness: empathy, acceptance, trust
Faith: dependence, endurable
Aid: material support
15 Kim 2005 The theory of a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Dimensions: structural and functional
Structural dimension: social network
Functional dimension: emotional, material, informational support
16 Lee 2005 Social support and alcoholics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Consequences of social support: positive effect
17 Kim & Kim 2001 Social support: a concept analysis Social network support: size, number, contact frequency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Positive evaluation support
18 Lee 2001 A social support mea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Social network: size, number, frequency
19 Lee 2001 The elderly and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20 Kim et al. 2000 A concept analysi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atten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Positive apprais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tecedents of social support: stressful situation
Consequences of social support: increased adaptation, coping,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21 Timmerman, Emanuels-Zuurveen, & Emmelkamp 2000 The social support inventory (SSI): a brief scale to assess perceived adequacy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Instrumental (material) support
Self-esteem support
22 Oh et al. 1999 Identification of attributes constituting Korean social support Affection, love, faith, belief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23 Macdonald 1998 Development of a social support scale: an evalu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24 Nolten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Material support
Support from family, teachers, and friends
25 Power, Champion, & Aris 1988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social support: the significant others scale Emotional support
Practical support
26 Zimet et al.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Friends' support
Significant others' support
27 House & Kahn 1985 Measures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Instrumental (material) support
28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29 Barrera, Sandler, & Ramsay 1981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support: studies on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
Family support
Table 2.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Defined in the Theoretical Stage
Dimension Attributes Indicators Related references list*
Structural dimension Social network support Size and contact frequency of the social network References No.
2, 4, 6, 13~18, 26, 29
Functional dimension Educational support Support from professors References No.
Support from head nurses or preceptors 1, 4~11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Support from seniors
Support from the university
Support from family
Support from friends
Emotional support Support from family References No.
Support from friends 2~4, 11, 12, 15, 17, 19~23, 25, 27, 28
Informational support Provision of information or advice References No.
3, 12, 15, 17, 19~21, 23, 24, 27
Economic support Economic or material or instrumental References No.
support 2, 3, 14, 15, 17, 19~24, 27, 28
Positive evaluation support Positive evaluation or appraisal of oneself References No.
17, 20, 23, 24, 27, 28
Self-esteem support Degree of respect References No.
3, 21
Support by providing a role model Provision of a role model References No.
1, 8

* Reference list numbers are given in Table 1.

Table 3.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Defined in the Fieldwork Stage
Indicators Attributes Dimension
Daily contact with family, professors, school friends, seniors and juniors, and occasional contact with friends outside of school or hometown friends Social network support Structural
Professors' counseling and guidance related to classes, credits, and studying Educational support Functional
Head nurses'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and assistance in providing direct nursing
Clinical instructors' support in case studies, conferences, and clinical practice guidance
Seniors' support of academic and clinical practice
University learning support
Family's trust and emo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stress relief from friends
Information provided by internet resources, books, friends from the same department, and friends from other schools to solve problems Informational support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material support for scholarships, qualification fees, English study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overseas training from university Economic support
Encouragment from friends and patients, and praise from nurses and professors Positive evaluation support
Experience of being respected by close younger students and friends Self-esteem support
Experience of perceiving the ideal role model that the student would like to become in the future Support by providing a role model
Table 4.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Defined in the Final Stage
Dimension Attributes Indicators
Structural Social network support Size and contact frequency of social network
- Family: daily or sometimes
- Professor: daily or sometimes
- School friend: almost everyday
- Friends outside school: sometimes
- Seniors and juniors: sometimes
Functional Educational support Support from professors
-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
Support from head nurses
- Provision of nursing practice
- Provision of clinical training
Support from clinical instructors
- Provision of case study information
- Provis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upport from seniors
- Provision of clinical practice
-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
Support from the university
-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
Emotional support Support from family
- Emotional support
- Trust
Support from friends
- Emotional support
- Relieve stress
Informa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for problem-solving
- Support from internet resources
- Support from colleagues at other schools
- Support from books
- Support from friends in the nursing department
Economic support Material support
- Scholarship support
- Support for certification fee
- Support for studying English
-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 Overseas training support
- Parental financial support
Positive evaluation support Encouragement and praise for oneself
- Encouragement from friends and patients
- Praise from nurses and professors
Self-esteem support Experience of respect
- Respected by close younger students
- Respected by friends
Support by providing a role model Experience of having the ideal role model
- Experience with head nurses
- Experience with professors
- Experience with clinical instruc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