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Purpose: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stated need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Methods:The participants were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372 students and 162 teachers were analyzed.
Results:1) The mean scores for felt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in both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teacher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 = 15.28, p < .001). 2)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al level (t = 2.89, p = .004), experience of sexual education (t = 3.11, p = .006), an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exual abuse education (t = 7.56, p < .001). 3)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nee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an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서 론연구의 필요성최근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 관련 범죄의 발생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3세 미만 아동 대상의 강제 추행 및 강간 범죄 신고 건수는 2011년 1,034건에서 2013년에는 1,125건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지난 3년간의 아동 성폭력 발생 비율은 전체 성폭력 비율 중 5.2%였다[1]. 13세 미만의 성폭력 피해 아동 중에서 초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77.5%에서 2010년에는 85.9%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2]. 그러나 국내 성폭력 피해 신고율이 7.1% 정도로 매우 낮고, 아동의 성폭력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특성을 감안한다면, 성폭력 피해 수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3].
아동에게 있어서 2차 성장이 시작되는 사춘기의 연령은 13-14세에서 10-11세로 낮아졌으며[4], 인터넷의 확산으로 초등학생도 쉽게 성 관련 음란매체의 접근이 쉬워지게 되면서[5], 성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성폭력 피해 아동의 후유증은 청소년기, 성인기에 이어 일생 동안 지속됨으로써, 그 폐해가 성인보다 더욱 심각하다고 보고되고 있는데[4,6,7], 성폭력 피해 아동은 회음부 손상 등의 신체적 증상 외에도 우울, 불안 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낮은 자존감 등의 정서조절 장애, 부적절한 성 행동, 자해 등을 겪게 된다[8,9]. 이후 청소년기 때는 가출, 약물 사용, 낮은 학업 성취도 등을 보이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우울, 섭식장애, 자살, 불임 등의 장기적인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7,10].
아동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도 성교육 활성화 지침 규정에 따른 초등학교에서의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학년 별로 연간 15시간 내외의 성폭력 예방을 포함한 필수 성교육을 진행하고 있다[11]. 그러나 현실적으로 성교육이 학교장의 재량권에 따라 실시됨으로써 관련 교과 시간에 부수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해당 표시 과목도 없어 체계적인 성교육이 실행되기 어려운 실정이다[12]. 또한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자료 부족과 연령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의 부족 등으로 현실적인 성폭력 예방교육 실시에도 한계가 있다[4].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교육의 적절한 시기로는, 학령 후기인 4, 5, 6학년이라고 제시되고 있다[4,6]. 이 시기는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형성되므로 교육의 효과가 뛰어나며, 성폭력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 또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4,6]. 또한 아동에게 성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했을 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경우, 성폭력 예방 관련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운 반면 고학년은 성과 성폭력에 대한 지식이 증가함으로써 교육을 받은 후 성폭력 관련 지식이 증가하는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교육을 제공받는 학생들의 요구도를 고려하는 것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적인 결과를 이끄는데 중요한 동기적 요인이 된다[13].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성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규정되어 있으므로[11], 성폭력 예방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도를 파악,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성폭력 예방교육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연구 대상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16개 초등학교의 고학년에 해당되는 4, 5, 6학년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저학년에 해당되는 1, 2, 3학년의 경우 설문조사가 어렵다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견과 초등학생에서의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 이 연령에 해당되는 시기에 성폭력 사고의 발생비율이 증가한다는 조사결과[8]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에 적절한 표본 수는 G-Power 3.1.2 프로그램[20]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one-way ANOVA test,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중간크기 .25, Power .80을 유지했을 때 최소 표본 수는 15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수가 필요한 표본 수에 비해 많은 이유는, 참여한 교사가 해당되는 초등학교에서 기대 이상으로 많은 학생이 참여를 허락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교사 2부, 아동 26부를 제외한 후, 교사 162부, 학생 1,372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성폭력 예방교육 관련 초등학생과 교사의 특성성폭력 예방교육과 관련된 초등학생의 특성은 처음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시기, 교육받은 횟수, 성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만족도, 자신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성폭력 예방교육 자료, 가장 적합하게 생각하는 성폭력 예방교육 실시자, 성폭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지식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폭력에 대한 지식은 Yook[21]이 선행문헌을 참고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성폭력 지식 도구 11문항을 사용하였다. 이는 성폭력에 대한 지식으로, ‘맞다’, ‘틀리다’, ‘모르겠다’ 로 응답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답을 했을 경우 1점으로, 오답과 ‘모르겠다’로 응답한 경우는 0점을 주는 2점 척도로 처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는 개발 당시 신뢰계수 Cronbach’s α=.92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계수는 Cronbach’s α=.71로 나타났다.
성폭력 예방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특성으로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성폭력 예방교육 방법, 교육 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학습 자료나 교재, 교육 자료의 확보 상태,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의 필요성,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평가, 학교에서의 성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적임자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본 연구에서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는 Yoon[22]이 아동 성폭력 예방 및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14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10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 특성상,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문항을 사용해야 하므로, 교사나 아동 측면에서 모두 적절한 문항을 선별해야하기 때문이었다. 본 도구는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의 내용은 교사대상의 문항과 의미는 같으나, 아동에게는 발달연령에 적합하게 좀 더 쉬운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필요하지 않다’ 1점, ‘별로 필요하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필요하다’ 4점, 그리고 ‘매우 필요하다’ 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당시, 본 도구의 신뢰계수 Cronbach’s α=.87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계수는 초등학생의 경우 Cronbach’s α=.89, 교사들의 경우 Cronbach’s α=.81로 나타났다.
내용타당도 검증본 도구를 포함하여 초등학생과 초등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구성한 설문 문항은 Lynn[23]의 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사용하여 모두 2차례의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쳤다. 타당도 검증은 본 연구자를 포함한 간호학과 교수 4명과 초등학교 보건교사와 수석교사 등 3명을 포함한 총 7명에 의해 검증되었다. 이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의 경우, 약 10명이 적당하다고 제시한 Lynn[23]의 제안에 따른 것이었다. 2차례의 타당도 검증에서 나타난 CVI 평균은 각각 0.88과 0.91이었으며 의미가 중복되거나 모호한 문항, 문항의 표현이 부적절한 문항을 수정하였다. 그 후,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초등학생 대상 설문지는 본 연구의 자료수집 대상 지역이 아닌 대도시 초등학교 4, 5, 6학년 각 2명을 포함한 총 6명에게, 초등학교 교사용은 3명의 고학년 담당 초등학교 교사 3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 문항이 타당함과 설문지의 가독성을 검증하였다.
자료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2월 9일부터 5월 8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자가 공문을 통해 초등학교 교장과 4, 5, 6학년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1차적으로 허락을 받은 후, 해당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대상 교사들에게는 연구목적과 설문지 내용에 대해 재차 설명을 하고 연구보조원과 함께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4, 5, 6학년의 교사와 보건교사를 포함한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은 수업이 없는 시간을 이용하여 각 교사의 자리에서 자가보고식 설문지에 응답을 실시하였고 질문이 있는 경우만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질문에 대해 응답하고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일부인 초등학생은 미성년자임을 고려하여 각 아동의 가정에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연구에 불참하더라도 불이익이 없음을 기술하고 하단에 회수용 서면동의를 포함한 가정통신문을 아동 편에 발송하였다. 연구에 대한 아동의 참여를 허락받았으며 보호자의 서면동의를 학생 편에 보내 온 아동에 한하여 아동에게 연구에 대한 내용을 재설명한 후, 연구보조원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강요하지 않았으며 대상자에게는 질문지를 배포하여 스스로 응답케 하여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익명으로 처리하였다. 대상자들이 질문지를 응답하는 데는 평균 15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본 연구의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에서 연구윤리에 위반되지 않음을 승인받았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HIRB-2015-109).
연구결과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 특성초등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볼 때, 학년은 5학년(42.3%)이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학생이 53.8%, 여학생이 46.2%였다. 아버지와 어머니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각각 61.7%, 57.6%였고 경제수준은 중류층이 79.7%로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 특성에서 성폭력 예방교육을 처음 받은 시기는 초등학교 1-3학년이 52.4%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98.5%가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성폭력 예방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교육자는 보건교사가 88.4%로 나타났으며 초등학생의 93.1%에서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과거 자신이 받은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53.2%에서만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정도는 11점 만점에 7.33 (±2.02)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성폭력은 범죄행위이다’로 문항 평균(1점 만점) 0.96 (±0.20)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는 부끄럽기도 하고 듣기에 거북하다’로 문항 평균(1점 만점) 0.25 (±0.43)였다.
교사의 성별은 여자가 77.8%였고 90.7%가 보건교과 이외의 교사로, 교육경력은 평균 14.8년(177개월)이었다. 성교육은 보건교사가 92.0%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재직하는 학교에서의 성교육 실시는 보건시간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77.2%였다. 연간 교육시간은 10시간 이상과 5-9시간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각각 44.4%, 40.1%였으며, 성폭력 예방교육에 있어서 많이 사용하는 교수법은 시청각 교육법(83.3%), 강의식(71.6%)였고, 많이 활용하는 매체는 녹음자료(100%)와 동영상(95.1%)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7.7%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원 연수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초등학생에게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96.9%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에게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성폭력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64.2%)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에서 성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적임자나 성폭력과 관련된 문제 시 적절한 상담자로는 보건교사(66%, 61.7%)를 제시하였다. 성폭력 예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의 연수기회 확대(34.6%)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효율적인 성폭력 예방교육을 위해서는 지도 자료의 개발(30.9%)과 가정과의 연계지도(25.3%)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초등학생과 초등학교 교사의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 비교초등학생과 초등학교 교사의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교사의 요구도가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 =15.28, p <.001) (Table 3). 이를 문항별로 비교해본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성폭력 사후 대처방법’, ‘인간존중 의식’, ‘성폭력 상황의 인지’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교사의 경우에 있어서는 ‘성폭력 사후 대처 방법’, ‘성폭력 상황의 인지’, ‘성 가치관’, ‘인간존중 의식’의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특성에 따른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의 차이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특성에 따른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구도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4.38 ± 0.62)가 고졸 이하인 경우(4.27±0.65)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89, p =.004).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 특성에 따라서는 성폭력 예방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4.33 (±0.63)점으로 없는 경우 3.70(± 0.88)점보다 요구도가 높았으며(t=3.11, p =.006),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4.36 (± 0.61)점으로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경우의 3.73 (±0.79)점보다 요구도가 높았다(t=7.56, p <.001).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폭력 예방교육관련 특성에 따라서는 성폭력 예방교육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논 의본 연구는 초등학생 성폭력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 발맞추어 교육수혜자인 초등학생의 요구에 부합된 효과적인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93.1%와 교사의 96.9%가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98.5%의 초등학생이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이 받은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해서는 53.2%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Lee와 Park[6]의 연구에서 지적한 것처럼 초등학생에게 제공된 교육은 그들의 필요성과 요구도에 충분히 부합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초등학생이 성폭력 예방에 대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원하지만[4], 실제 교육의 내용은 초등학생이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았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폭력 지식 정도는 7.33 (± 2.01)점에 그쳐 성폭력 예방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선행연구의 결과[6,21,23]와 유사하였다. 이에 대해 Yoon[22]은 초등학교에서 시행되는 성폭력 예방교육의 수준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지 않고, 성교육과 혼동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교사 중심의 교육이 아닌 학생 중심의 교육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초등학생들의 성폭력 예방에 대한 지식 정도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는 부끄럽기도 하고 듣기에 거북하다(정답률 24.9%)’, ‘여자가 끝까지 저항하면 성폭력을 막을 수 있다(정답률 33.9%)’, ‘성폭력을 당한 것은 수치스러우며, 자신의 잘못된 행동 때문에 생긴 것이다(정답률 48.3%)’, ‘성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성폭력을 하는 사람이다(정답률 55.0%)’라는 항목에 대해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폭력 예방교육을 구성할 때에는 성폭력 예방에 대한 그들의 지식 정도를 고려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성폭력 예방교육을 위해서는 초등학생과 교사 모두 보건교사가 적임자라고 제시하였는데 Lee와 Park[6]의 연구에서도 아동의 성폭력 예방교육은 보건교사가 적합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의 가장 합리적인 성폭력 예방 제공자는 교내의 보건교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가 응답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폭력 예방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자료와 교사의 전문지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폭력 예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에게 연수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폭력 예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지원과 관심이 요구된다는 Lee[25]와 Yoon[22]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요구도에 부합되고 만족스러운 성폭력 예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교육 내용을 계속적으로 개발, 발전시키며, 효과적인 교재 및 교수법 개발과 관련된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 내용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교사의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왜곡된 성 지식, 성을 상품화하는 미디어, 각종 음란물의 유통, 성폭력 및 성희롱과 같은 사회 범죄 등과 같이 성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 혼란을 야기하는 사회적 현상과 변화[5,6,22]에 대해 아동보다는 성인이 더 예민하게 직시하고 이를 성폭력과 연관하여 우려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를 항목에 따라 순위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성폭력 사후 대처방법’, ‘인간존중 의식’, ‘성폭력 상황 인지’, ‘성 가치관’ 순으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는 ‘성폭력 사후 대처방법’, ‘성폭력 상황 인지’, ‘성 가치관’, ‘인간존중 의식’ 순으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순위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학생과 교사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예방을 위해 성폭력이 가능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내용과 함께 성폭력 발생 이후의 적절한 대처에 대한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는 Kim 등[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올바른 인권존중에 초점을 둔 인성 교육을 바탕으로 한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Lee[25]와 Yoon[22]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도에 적합한 성폭력 예방교육을 개발할 때는 성폭력 예방을 위한 지식 제공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교육, 성폭력으로 인정되는 상황, 성폭력이 발생한 후의 올바른 대처방법에 대한 내용을 아동의 이해 수준에 맞게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폭력 예방교육의 요구도는 대상자의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가 고졸 이하인 경우보다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성폭력 예방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었는데, 성폭력 예방에 대해 부모와 많은 대화를 나눈 아동이 성폭력 상황에서 자기보호 행동을 잘하여 잘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초등학생은 아버지와 성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지는 않으나 성과 관련된 문제가 생겼을 때는 어머니 다음으로 아버지와 의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현재 성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 차원에서의 노력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폭력 예방에 있어 부모의 역할 또한 중요하므로[7] 가정에서의 예방교육도 주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단순히 학교와 가정에서의 이원적인 교육에 그치지 않고 아동의 성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와 가정이 파트너십을 이룰 때, 괄목할만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27].
아동의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 유무, 성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과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초등학생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통해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정도가 증가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되며 성폭력 예방교육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높았다는 Yook[21]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성폭력 예방교육은 주로 보건교사가 성교육 도서를 바탕으로 녹음자료와 동영상을 활용하여 시청각 교육법이나 강의식의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발달특성상, 그들은 배우고자 하는 의욕이 강하고 학습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그로 인한 학습효과가 다른 발달단계의 아동에 비해 좋은 특성[4,5]을 고려해 볼 때, 일방적인 전달보다는 피드백을 수반한 역할극, 연극 등을 활용하여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행동적 방법을 익힐 수 있는 적극적인 교수방법[4,28]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좀 더 다양한 성폭력 예방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효과적인 교수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성폭력 예방교육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현재 아동 성폭력 발생 비율을 고려할 때, 학교에서의 성폭력 예방교육의 효과는 좀 더 신중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제공하는 교사뿐만 아니라 피교육자인 학생의 요구도를 함께 분석했기 때문에 학생 중심의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성폭력 예방교육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성폭력 예방교육을 위해 그들에게 주로 교육을 제공하는 보건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함께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제공할 때는 올바른 성 의식과 성폭력 예방을 위한 지식 제공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일방적인 교육보다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대처행동을 익힐 수 있도록 학생의 인식 변화 및 성폭력 예방법의 실천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며 적극적인 교수방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성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와의 협력이 절실하므로, 가정학습이나 학부모가 참여하는 교수법을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4,24].
본 연구에서 교사의 일반적 특성이나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특성에 따라서는 성폭력 예방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교사의 경우,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아동 성폭력의 심각성과 예방의 중요성이 대중매체를 포함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강조되어 교사들의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따라서, 추후 더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재검증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이 일 지역에 한정된 것과 16개 초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참여한 교사의 수가 학생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따라서 추후에는 지역과 함께 참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성폭력에 대한 지식의 신뢰계수가 선행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대상자의 특성이나 자료수집 시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므로 추후 연구에서 도구에 대한 신뢰계수의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를 고려하고 현실에 적합한 성폭력 예방교육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며,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결 론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요구도를 고려한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피교육자인 초등학생과 교사의 요구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과 교사 모두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교육의 요구도는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아동의 성폭력 예방교육의 경험 유무, 성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성폭력 예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특히 보건교사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개발할 때 학생과 교사의 요구도를 반영하고,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성폭력 예방 및 대처행동 교육, 학부모와 연계되는 교육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 대상자가 초등학생인 점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행동양식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교육의 수혜자인 초등학생과 교사 모두를 포함하여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REFERENCES1. National Police Agency. Crime statistics of National Police Agency [Internet]. Seoul: National Police Agency; 2014 [cited 2016 June 18]. Available from: http://stat.kosis.kr/nsieu/view/tree.do?task=branchView&id=132_13204*MT_OTITLE&hOrg=132
2. Kim JS, Hong YH. Trend analysis and generation trends in sexual assault of child & adolescent. Research Report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ublic of Korea; 2012. Report No.: 2012-03-31.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2012 prevention education of sexual harassme nt and prostitution in public institution.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4. Kim SJ, Park SJ, Kim SH, Kang KA. Contents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al Nursing Education. 2013;9(4):518-530.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18
5. Oh ES, Choi JA.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the effect upon level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5;36(3):93-113. http://dx.doi.org/10.5723/kjcs.2015.36.3.93
6. Lee SH, Park WJ. Development of standard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abuse in late school-age children using delphi technique.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3;7(4):287-296.
7. Ha JY, Lee HH. Fear of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behavior and upper elementary school victims’ experiences of child sexual abuse.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4;12(2):43-65.
8. Cho YR, Kim JE, Park KM.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between low and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2):119-12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2.119
9. Choi JY, Oh KJ. The effects of cumulative childhood trauma on emotion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sexually abused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5;34(1):61-76.
10. Buckle SK, Lancaster S, Powell MB, Higgins DJ.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exual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sample of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Child Abuse and Neglect. 2005;29(9):1031-1047. http://dx.doi.org/10.1016/j.chiabu.2004.12.013
1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Guidelines of sexual education and sexual harassment. Gyeongsangbukdo: Gyeongsangbukdo Seongju Office of Education; 2013. p 7.
12. Bae JS, Kim YS, Kim HS. Effects of pictures on sexual education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2):217-227.
13. Cho YS, Chae JS, Baek EJ, Lim HH. A theoretic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04;16(2):1-28.
14. Kim JE, Kim HJ, Hong HS.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 in abuse, self-blam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sexually abused children. Journal Korean Social Maternal Child Health. 2015;19(2):243-254.
15. Jeong GH, Kim SJ, Yang SO. Effect of the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of the middle school women students through sexual education program.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3;9(4):420-431.
16. Park HM, Im MY.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using multimedia program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ex of middle school boy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3;9(2):173-179.
17. Oh J. Sexual maturity,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l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8;14(3):305-314.
18. Koo HY, Kim SS. Differences in sexual attitudes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level of internet addi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7;13(2):157-165.
19. Koh MS, Suk JW. Differences in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perspectives of sexual values of female students as related to sexual characteristic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17(3):153-160.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3.153
20.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1. Yook JH, Park HK, Chae JM. The evalu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the sexual assault. Journal of Forensic and Investigative Science. 2008;3(1):25-42.
22. Yoon J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08;20(3):231-258.
23.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4. Lee HJ. Exploring ways to improve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in school, centered on teachers’ optio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5;13(1):167-191.
25. Jingqi Chen WZ, Jingyi Li YF, Xiaoling Luo XZ.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sexual abuse prevention: A pilot study in Beijing, China. Child Abuse & Neglect. 2013;37(9):623-630. http://dx.doi.org/10.1016/j.chiabu.2013.04.018
26. Yoon JH. A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010;23(3):59-78.
27. Walsh K, Brandon L. Their children’s first educators: Parents’ views about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2012;21(5):734-746. http://dx.doi.org/10.1007/s10826-011-9526-4
28. Wurtele SK. Behavioral approaches to educating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about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The Journal of Behavior Analysis of Offender and Victim Treatment and Prevention. 2008;1(1):52-64. http://dx.doi.org/10.1037/h0100434
Table 1.
Table 2.
Table 3.Table 4.Table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