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1(4):2015 > Article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 영향요인

Abstract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hand hygiene by parents of hospitalized infa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09 parents of hospitalized infants from one hospital in Changwon.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hrough August, 2014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formance of hand hygiene and perceptions of sanitary formula bottle (r = .586, p < .001), attitude to hand hygiene (r = .438, p < .001), and knowledge of hand hygiene (r = .405, p < .001) and between parent efficacy and perceptions of sanitary formula bottle (r = .572, p < .001). Awareness of perceptions of sanitary for-mula bottle (β = .308, p < .001), parent efficacy (β = .281, p < .001) and hand hygiene attitude (β = .207, p < .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nd hygiene performance and explained 46.1% of the variance.

Conclusion:

To increase infection control medic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education on hand hygiene and training for parents of hospitalized infants.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hand hygie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nursing programs for hospitalized infants that include hand hygiene attitude, maintenance of the sanitary formula bottle and parent efficacy.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영유아의 부모는 입원과 함께 병원에 상주하면서 간호에 직접 참여하는 우리나라 입원 제도에서 입원 영유아 관리의 상당 부분을 담당할 수 있는 자원으로, 영유아는 부모로부터 보호와 관심을 받으면서 안정된 병원 생활을 할 수 있고, 부모 또한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영유아를 돌보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며, 영유아 간호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환아의 상태와 간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갖게 된다[1]. 또한 부모는 환아에 관한 정보를 간호사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으로 직접 돌보기를 수행하며 입원 생활과 간호에 참여함으로써 환아의 입원 적응과 질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2].
특히 인공 수유를 하는 영유아의 경우 인공 수유 준비과정인 젖병 소독과 분유를 타는 행위, 환아의 배설물을 치우고 기저귀를 교환하는 행위, 위생을 위해 씻기는 행위, 주위환경 정리정돈 등 전적으로 보호자인 부모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감염의 발생은 대부분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손은 감염 전파의 주요 매개원이 될 수 있다[3]. 그러므로 부모는 의료인과 같이 병원 미생물의 보유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손 위생 수행도가 낮다면 병원 감염의 전달 수단, 보균자 및 감염원이 되어 병원 내의 공기, 린넨 등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4-6].
또한, 젖병은 영유아의 입과 직접적으로 닿는 물건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만큼 보다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위생적이지 못한 젖병 소독, 보호자의 손 등에 의해 세균에 오염되기 쉽다[7]. 이러한 교차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올바른 손 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입원 영유아 부모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 손 위생의 수행률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손 위생이 얼마나 중요한지 언제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태도가 결과적으로 손 위생의 이행률에 영향을 미친다[8].
그러나 병원감염관리지침이나 규정을 살펴보면 환자 및 의료적 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고, 환자나 보호자 관리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7]. 전적으로 돌봄에 의존하는 소아의 경우 보호자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입원과정 동안 가족 중 영유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부모의 역할 수행에 대한 죄의식과 더불어 낯선 병원 환경에 대한 불안, 예후에 대한 불안, 아동의 증상이나 처치 및 치료를 지켜봄으로써 아동이 당하는 고통, 가정에 대한 책임감 등의 원인으로 하여 공포, 좌절감 및 무기력 등의 불안한 정서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부모의 효능감이 낮으면 영유아의 적응과 돌봄을 효율적으로 도울 수 없어 결국 영유아의 돌봄 스트레스가 부모에게 전이되어 부모로 하여금 영유아의 요구를 해결해야 하는 부모역할 기능의 약화를 가져온다. 입원 영유아를 간호하는 주 조력자인 부모의 효능감이 저하되면 아동의 치료와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부모 효능감은 건강예방행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9,10] 병원감염예방행위 중 손 위생 수행에도 영향을 줄 요인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손 위생의 지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 의료계에서는 입원 아동 보호자에 대한 개발된 지식체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집중되고 있고 입원아동 간호에서 보호자 역할의 중요성을 감안하지 못하고 있다[11]. 소아병동의 전문 인력인 간호사는 영유아의 신체적 안위를 증진시키는 직접적인 간호뿐만 아니라 영유아 부모의 입원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고 병원감염예방행위 중 가장 경제적인 손 위생 수행 향상에 관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인공 수유를 하는 입원 영유아를 간호하는 부모의 일차적인 병원감염예방과 관련된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과 손 위생 수행의 관계를 알아보고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아병동 전문 인력인 간호사의 전인적인 간호 제공과 입원 영유아 간호의 큰 조력자인 부모의 올바른 손 위생 수행이 효과적인 병원감염 예방 간호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입원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손 위생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입원환자 보호자들의 손 씻기 행태조사에서는 병원감염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는 보호자의 경우 손 씻기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었고[12], 군 병원 입원환자의 손 씻기 실태와 실천 정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도 손 씻기 지식과 태도가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3]. Moon, Yoo와 Lee[14]의 일반 여성과 영양사의 손 씻기 실천을 관찰한 조사 연구에서는 위생지식과 관련 교육에 더 많이 노출된 영양사가 손 씻기 이행도에서 일반 여성보다 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입원한 인공 수유 영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손 위생 지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영향을 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기간 중 인공 수유를 하는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의 지식, 태도, 젖병 위생 인식과 부모 효능감을 분석하여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입원 영유아의 병원감염 예방과 손 위생 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손 위생 수행 정도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한다.

연구 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인공 수유하는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 태도, 젖병 위생 인식과 부모의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C시 소재 일 대학부속병원에 입원한 인공 수유 영유아 부모를 표적모집단으로 하고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대상자들을 편의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일 대학부속병원의 기관장의 허락을 받은 후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크기는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80%, 효과크기(f) .25 (중간크기), 예측요인을 기준으로 하였을 대 예측 검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표본수가 200명인 것을 근거로 2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지의 기입 불충분 15건, 중간철회 6건 탈락률 9.13%로 본 연구는 총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인공 수유 영유아의 부모
2)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자
3)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하는 자

연구도구

본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문지는 본 연구자와 간호대학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이 함께 개발한 손 위생 지식 13개 문항, 손 위생 태도 4개 문항, 젖병 위생 인식 11개 문항, Gilbaud-Wallston과 Wandersman[15]이 개발하고 Shin와 Chung[16]가 번안한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로 부모 효능감 측정도구 16개 문항, 본 연구자와 간호대학 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이 함께 개발한 손 위생 수행 23개 문항과 일반적 특성 7개 문항 등 총 7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손 위생 지식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손 위생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질병통제예방센터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DC)[17]와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18]의 손 위생 지침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손 위생 지식문항을 추출하여 대상자에게 맞게 개발한 것을 간호대학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의 자문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구는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을 배점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손 위생 지식이 높음을 의미하며 점수 범위는 0에서 14점까지이다. 본 연구에서 손 위생 지식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0이었다.

2) 손 위생 태도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손 위생 태도와 관련된 내용을 질병통제예방센터 (CDC)[17]와 WHO[18]의 손 위생 지침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손 위생 태도 문항을 추출하여 대상자에게 맞게 개발한 것을 간호대학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의 자문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구는 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손 위생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손 위생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1이었다.

3) 젖병 위생 인식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젖병 소독, 위생과 관련된 문헌[7,19]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젖병 위생 인식과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대상자에게 맞게 개발한 것을 간호대학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의 자문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구는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젖병 위생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젖병 위생 인식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4였다.

4) 부모 효능감의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부모 효능감은 Gilbaud-Wallston과 Wandersman[15]이 개발하고 Shin과 Chung[16]이 번안한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총 16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부정문으로 된 3문항(9, 10, 13번 문항)은 역산하였고, 효능감의 점수가 높을수록 스스로 자녀의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고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Lee[10]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 =.70,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87이었다.

5) 손 위생 수행도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손 위생 수행과 관련된 내용을 질병통제예방센터 (CDC)[17]와 WHO[18]의 손 위생 지침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손 위생 수행과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대상자에게 맞게 개발한 것을 간호대학교수 2인, 소아병동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간호사 1인의 자문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구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손 위생 수행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손 위생 수행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92였다.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6월 1일에서 8월 30일까지 약 3개월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방법은 사전에 S병원 기관윤리위원회의 승인(2014-SCMC-037-00)을 받았으며, 일 대학병원의 기관장과 간호부서장에게 연구의 내용과 목적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소아 병동에 입원한 인공 수유 영유아 부모에게 연구 참여에 동의를 받았다. 동의를 한 부모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방법을 설명하고 자가 보고로 작성하도록 하여 직접 수거하였다. 연구 참여 동의서에는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설문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은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 위생 수행은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자녀의 성별은 남 61.7%, 여 38.3%였고, 자녀의 연령은 1-6개월 미만 34.4%, 6-12개월 미만 26.8%, 12-18개월 미만 23.0%, 18-24개월 미만 8.1%, 24개월 이상 7.7%순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연령은 30-35세 미만 46.4%, 25-30세 미만 21.5%, 35-40세 미만 20.1%, 25세 미만이 6.7%, 40세 이상이 5.3%였다. 자녀와 관계는 어머니 93.8%, 아버지 6.2%로 나타났고, 부모의 학력은 대졸 이상이 65.6%, 고졸 34.4%였다. 입원횟수는 1회 54.1%, 2회 23.0%, 3회 이상 23.0%순으로 나타났고, 이전의 자녀의 입원경험유무는 경험 있음 54.5%, 경험 없음 45.5%로 나타났다(Table 1).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정도, 손 위생 태도 정도, 젖병 위생 인식 정도, 부모 효능감 정도, 손 위생 수행 정도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정도의 평균평점은 1점 만점에 0.79±0.16로 중간이상 정도로 나타났고, 손 위생 태도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69±0.65로 나타났다.
젖병 위생 인식 정도의 평균 평점은 5점 만점에 3.49±0.54로 나타났으며, 부모 효능감 정도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52±0.63으로 나타났으며, 손 위생 수행 정도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78±0.64로 나타났다(Table 2).

대상자 제 특성에 따른 손 위생 수행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손 위생 수행은 자녀의 성별(p =.321), 자녀의 연령(p =.245), 부모의 성별(p>.999), 부모의 학력(p =.920), 입원횟수(p =.202), 이전의 자녀 입원경험유무(p =.49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연령(p =.002)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사후 검증한 결과 부모의 연령이 25세 이상이 25세 미만보다 손 위생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1).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과의 관계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손 위생 수행은 손 위생 지식(r=.405, p < .001), 손 위생 태도(r=.438, p < .001), 젖병 위생 인식(r=.586, p < .001), 부모 효능감(r=.569, p < .001)과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 위생 지식은 손 위생 태도(r=.387, p < .001), 젖병 위생 인식(r=.394, p < .001), 부모 효능감(r=.442, p < .001)과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손 위생 태도는 젖병 위생 인식(r=.349, p < .001), 부모 효능감(r=.362, p < .001)과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병 위생 인식은 부모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572, p < .001) (Table 3).

대상자의 손 위생 수행의 영향 요인

대상자의 손 위생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모의 연령과,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을 회귀식에 포함시켜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변수 중 명목 척도로 측정한 변수는 더미변수(Dummy variable)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간의 다중 공선성 유무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차한계 값과 VIF 값을 산출하였다. 공차한계 값은 0.604-0.769에 걸쳐 있고, VIF 값은 1.301-1.655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독립변수간의 다중 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잔차의 독립성에 대한 검정으로 Durbin-Watson 값을 확인한 결과 2.016으로 2 근처에 있어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손 위생 수행률을 설명하는 데 적절하게 설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 손 위생 수행도 모형검증 결과는 F =36.338 (p < .001)로 회귀선이 모델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 수유 하는 입원 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손 위생 수행도를 설명하는 변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설명력은 47.2%였으며, 젖병 위생 인식(β=.308)과 부모 효능감(β=.281), 손 위생 태도(β=.207)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논 의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의 관계를 파악하고 손 위생 수행에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부모의 연령이 손 위생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공 수유 입원 환아 부모의 25세 이상이 25세 미만보다 손 위생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일반인 대상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비교하기 어렵지만 본 연구에서 손 위생 수행점수가 자가 보고를 통한 점수이므로 실제 수행점수보다 높게 조사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것도 감안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25세 미만의 부모는 영유아의 입원이 처음인 경우가 85.7%, 25세 이상에서 30세 미만의 부모는 51.1%, 30세 이상에서 35세 미만 51.5%, 35세 이상에서 40세 미만의 부모는 52.4%, 40세 이상의 부모는 54.5%로 25세 이상의 부모는 입원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가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돌봄의 과정에서 병원감염예방과 관련된 손 위생 교육 경험의 기회가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손 위생 교육의 경험 여부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점이 아쉬워 다음 연구에 포함시키면 좋은 변수가 되리라고 여겨진다.
둘째,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의 관계를 보면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손 위생 지식과 손 위생 태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보건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군 병원 입원환자 대상의 연구에서 도구는 동일하지 않지만 유사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다[13,20]. 손 위생 관련 지식의 습득은 여러 매체나 책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손 위생 태도가 습관화되기 어렵고 현 입원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정착화 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과 젖병 위생 인식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호자 대상으로 한 손 위생 지식과 젖병 위생 인식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워 선행연구결과와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으나 손 위생과 젖병 위생이 현 입원 환경에서의 질환과의 연관성을 고려해보면 유의한 상관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대상자의 손 위생 지식과 부모 효능감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Lee[10]의 연구에서 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관련 지식과의 관계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본 연구의 변수와 도구의 차이는 있지만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효능감이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이루기 위해 요구된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해 나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인간의 행위를 변화시키고 그 변화를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여 손 위생 지식과 부모 효능감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손 위생 태도와 부모 효능감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을 통한 행동의 변화가 손 위생 태도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젖병 위생 인식과 부모 효능감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 효능감은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여 젖병 위생 인식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부모 효능감과 손 위생 수행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로서의 행동변화유도를 통해서 손 위생 수행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젖병 위생 인식은 손 위생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가 손을 이용하여 젖병 위생관련 행위를 많이 하는 것을 감안한 결과로 여겨진다. 젖병 위생 관련된 단순한 실태조사 연구는 있지만[7], 손 위생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Lee, Shin과 Lee[7]의 젖병 위생 인식 조사에서 젖병 소독 시 용출되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그 예방법 및 젖병 소독에 대한 기준과 방법에 대해 정확히 모르고 지인의 의견, 인터넷 등을 통해 다양한 젖병소독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간호현장에서는 젖병소독법, 젖병 위생적 관리, 손 위생과 젖병 위생과의 관계, 환경호르몬의 유해성 등에 대해 올바르게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의 부모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결과는 부모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17%의 설명력을 가지는 Jeong과 Lee [9]의 연구와 요로감염지식,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예방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29%의 설명력을 가지는 Lee[10]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이는 부모 효능감 하나만을 보는 것보다는 입원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손 위생과 같은 감염예방행위를 실천하는 데 있어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부모가 병원 감염 예방하는 행위 중 손 위생 수행을 하는데 있어서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칭찬을 할 필요가 있고, 부모가 병원 감염예방 및 관리하는 데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주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하고 이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간호사들은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태도는 손 위생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손 위생을 이행하려는 태도는 손 위생 수행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여겨지며, Jeong과 Kim[21]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도구가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손 위생을 이행하려는 의도를 가진 태도가 손 위생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Moon, Yoo와 Lee [14]의 일반인과 영양사의 손 씻기 실태조사에서 알려진 손 씻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본 연구 대상자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을 이행하려는 태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손 위생 행위의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 손 위생 교육, 캠페인, 손 위생 관련 물품, 시설과 관련 환경적인 면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이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부분에서 다른 변수에 비해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인 이유는 2005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되었던 ‘범국민 손 씻기 운동’ 캠페인을 통한 교육, 홍보 활동의 영향과 손 위생이 신종플루(H1N1) 등 신종 감염병의 주요 예방법으로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해 보도되면서 손 위생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들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입원한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 점수는 높게 나타났으나 세부적으로 손 위생 수행 시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부분과 손 위생 방법 면에서 습관화가 이뤄지지 않아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입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인공 수유 영유아를 돌봄으로 인해 손 위생 지식은 실제 높았으나 변화된 환경과 상황에 적응이 쉽지 않아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상반되는 결과로는 Jeong과 Kim[21]의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손 위생 지식이 높으면 손 위생 수행률이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었고, Park과 Kim[22], Yoon과 Kim[23]의 간호학생 대상으로 손 위생 지식이 높을수록 손 위생 이행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었다. 이는 손 위생 관련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을 받은 의료인, 간호 학생 대상 연구는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의 대상자인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수준과는 비교하기 무리가 따를 것이다. Ajzen[24]은 행위를 통제할 수 있는 지각과 실제 행위를 통제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각된 행위 통제가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실제로 지각하고 있는 손 위생 지식이 여러 특수한 상황과 환경변화로 인해 실제 손 위생 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본 연구는 1개의 지역에서 일정한 선정기준에 해당된 입원한 영유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므로, 특정 지역에 입원한 영유아 부모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다른 집단에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므로 활용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손 위생 수행을 종속변인으로 다루고 있는데, 손 위생 수행이 자가보고 형식이 아닌 관찰자에 의한 직접조사에 의한 결과 차이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영향 요인에서 빠진 일반적인 특성 관련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고 있지 못하여 입원한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입원한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연구에 포함시켜 후속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결 론

본 연구는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손 위생 지식,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 손 위생 수행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손 위생 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입원 영유아의 감염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인공 수유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태도, 젖병 위생 인식, 부모 효능감이 손 위생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입원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지식, 태도, 젖병 위생의 인식, 부모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손 위생 수행의 향상을 위한 손 위생 증진 프로그램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입원한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 향상과 젖병 위생 관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확한 지식을 교육하고 그 실행 방안에 관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제언한다.
둘째, 입원한 영유아 부모의 손 위생 수행 향상과 젖병 위생 관리의 실행 방안이 병원감염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Kim MY, Koo HY, Kwon IS, Kim JS, Kim TI, Song IS, et al.. Basics of child health nursing. 2nd ed. Seoul: KoonJa; 2011. p. 218-250.

2. Cho IY, Lee HJ. The relationship of stress, coping and partnership between nurses and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95-207.

3. Allegranzi B, Pittet D. Role of hand hygien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9;73(4):305-315. http://dx.doi.org/10.1016/j.jhin.2009.04.019
crossref pmid
4. Gilomen S, Ruef C, Held L, Cathomas A, French LE, Hafner J. Successful control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 at a university department of dermatology.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11;25(4):441-446. http://dx.doi.org/10.1111/j.1468-3083.2010.03810.x
crossref pmid
5. Hernandez-Castro R, Arroyo-Escalante S, Carrillo-Casas EM, Moncada-Barron D, Alvarez-Verona E, Hernandez-Delgado L, et al. Outbreak of candida parapsilosi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health care workers source.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2011;169(7):783-787. http://dx.doi.org/10.1007/s00431-009-1109-7
crossref
6. Kwon IS, Seo YM. Knowledge and practice on infection prevention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0;13(2):102-109.

7. Lee IH, Shin YH, Lee ES. A survey of disinfection methods for formula bottl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108-116.

8. Lee MH, Kang HS.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specific hand-washing practices of ICU health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3):297-305.

9. Jeong NO, Lee MH. A predictive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women who immigrate for marri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5):695-704.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695
crossref pmid
10. Lee HR. The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of patient’s mothers of urinary tract infection, having the knowledge of the urinary tract infec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cautions of the diseas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1. p. 1-32

11. Kwon IS, Seo YM, Kim JY. Trends in research on caregivers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focus on knowledge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3):101-10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1
crossref
12. Jeon BS. (A) Study on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caregiver’s hand-washing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2. p. 20-53

13. Kim YJ, Kwon HJ, Kim YJ, Sung S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hand washing for patients in militar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4;14(12):350-360.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2.350
crossref
14. Moon JA, Yoo CH, Lee KE. Hand washing practices among female adults and dietitians in public restrooms. Journal of Natural Science. 2011;23:71-82.

15. Giband-Wallston J, Wnadersman LP.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Toronto: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8

16.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8;19(1):27-42.

17.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Internet].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2. [cited 2014 January 14]. Available from:http://www.cdc.gov/mmwr/PDF/rr/rr5116.pdf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for hand hygiene in health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cited 2014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9/9789241597906_eng.pdf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Safe preparation, storage and handling of powdered infant formula: Guidelin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cited 2014 February 1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oodsafety/publications/micro/pif_guidelines.pdf

20. Ryu SM.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of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916-392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916
crossref
21. Jeong SY, Kim OS. The structural model of hand hygiene behavior for the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2;24(2):119-129. http://dx.doi.org/10.7475/kjan.2012.24.2.119
crossref
22. Park JH, Kim HS. The effect of the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hand hygiene adher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156-165.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156
crossref
23. Yoon EJ, Kim MH.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3):455-46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455
crossref
24. Ajzen I.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2005. p. 147-167.

Table 1.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Hand Hygien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0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Hand hygiene: performance
M± SD t or F p Sheffe's
Infants’gender Male 129 (61.7) 86.09 ± 14.76 -0.995 .321
Female 80 (38.3) 88.18 ± 14.76
Infants' age (month) ≤5 72 (34.4) 86.54 ± 14.08 1.371 .245
6-11 56 (26.8) 84.95 ± 14.40
12-17 48 (23.0) 86.23 ± 15.89
18-23 17 (8.1) 90.00 ± 15.37
≥ 24 16 (7.7) 93.88 ± 14.16
Infants’number of hospitalizations 1 113 (54.0) 85.36 ± 14.77 1.613 .202
2 48 (23.0) 87.52 ± 14.57
≥3 48 (23.0) 89.83 ± 14.73
Previous experience of infant being hospitalized Yes 114 (54.5) 87.52 ± 14.99 -0.678 .499
No 95 (45.5) 86.12 ± 14.52
Parents' age (year) ≤ 24a 14 (6.7) 71.79 ± 16.88 4.546 .002 a < b,c,d,e
25-29b 45 (21.5) 88.56 ± 14.05
30-34c 97 (46.4) 87.60 ± 14.15
35-39d 42 (20.1) 87.02 ± 13.62
≥ 40e 11 (5.3) 92.45 ± 15.44
Parents' gender Female 196 (93.8) 86.78 ± 14.92 0.000 > .999
Male 13 (6.2) 86.78 ± 10.71
Parents’education High school 72 (34.4) 87.03 ± 15.66 0.101 .920
≥ College 137 (65.6) 86.81 ± 14.32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N=209)
Variables Items Range (Min-Max) Mean ± SD Mean ± SD/item
Hand hygiene: knowledge 14 0-1 (0-14) 11.00 ± 2.22 0.79 ± .16
Hand hygiene: attitude 4 1-5 (4-20) 14.76 ± 2.62 3.69 ± .65
Sanitary formula bottle: perception 11 1-5 (11-55) 38.37 ± 5.93 3.49 ± .54
Parent efficacy 16 1-5 (16-80) 56.47 ± 10.12 3.52 ± .63
Hand hygiene: performance 23 1-5 (23-115) 86.89 ± 14.76 3.78 ± .64
Table 3.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Knowledge, Attitude of Hand Hygiene, Perception of Sanitary Formula Bottle and Parent Efficacy (N=209)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attitude Sanitary formula bottle: perception Parent efficacy Hand hygiene: performance
Hand hygiene: knowledge 1.00
Hand hygiene: attitude .387** 1.00
Sanitary formula bottle: perception .394** .349** 1.00
Parent efficacy .442** .362** .572** 1.00
Hand hygiene: performance .405** .438** .586** .569** 1.00

** p<.001

Table 4.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Hand Hygiene (N=209)
Independent variables B SE β t p Tolerance limits VIF
Constant .360 .264 1.364 .174
Hand hygiene: attitude .203 .057 .207 3.562 .000 .769 1.301
Sanitary formula bottle: perception .366 .078 .308 4.700 .000 .606 1.651
Parent efficacy .285 .067 .281 4.278 .000 .604 1.655
R = .687, R² = .472, Adj. R² = .459
F = 36.338, p < .001, Durbin Watson = 2.016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