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0(2):2014 > Article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분석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arent participation (PP), to clarify the concept of PP as a benefit to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PP in pediatric nursing practice.

Methods

Walker and Avant's approach to concept analysis was used. A search of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12 was undertaken using the keyword, ‘parent participation’ combined with hospitalized children.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were inductively derived from the citations analyzed (n=30).

Results

PP was identified as having three attributes: Negotiation, Performing caring activity, Providing individualized care. Antecedents of PP were ‘Parents & pediatric nurses’ attitudes’, ‘Children's age’, ‘Children's conditions’. Consequences of PP were ‘Effective partnership’, ‘Mutual empowerment’.

Conclusion

Parent participation as defin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a foundation for theory development in pediatric nursing practice.

요약

목적

본연구는 입원 환아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개념을 탐색함으로써 아동간호실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근거로 1994년부터 2012년 사이에 이루어진 부모의 참여 관련 논문 중 입원 환아 간호, 부모참여를 주요어로 하여 고찰한 논문 30편을 통해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입원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속성은 협상, 돌봄 활동 수행, 개별화된 간호 제공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요인은 환아의 연령과 상태, 환아 부모 참여 필요성에 대한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태도 및 상호 이해이며, 결과는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효율적인 파트너십이 이루어지고,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를 임파워먼트시키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개념 정의와 속성은 아동간호실무 이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서론

연구의필요성

아동간호실무에서 가족중심간호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환아와 가족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있어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철학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Daneman, Macaluso, & Guzzetta, 2003; Just, 2005). 입원 환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가족이므로, 아동간호분야에서의 간호 대상자는 아동으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맥락 내에서 고려해야 한다(Corelett & Twycross, 2006). 가족구성원은 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아의 일상 간호에 사실상 참여할 기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동간호사와 가족 간의 지지적인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족중심간호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부모의 참여는 병원에 입원한 환아를 간호하는 상황 맥락 내에서 부모가 돌봄 제공자로서 환아의 간호에 많은 부분 참여함을 의미한다(Maijala, Luukkaala, & Ast-edt-Kurki, 2009).
Shields, Young과 McCann (2008)은 입원한 환아의 신체 ·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아가 입원해 있는 동안 부모가 환아 간호에 참여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는 아동간호사가 입원 환아와 부모의 요구에 부합되는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아동과 더불어 가족 혹은 부모의 불안, 스트레스, 대처양상을 확인하는 가족중심적인 간호중재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의 참여는 입원한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간호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있어 부모를 배제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간호제공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Choi & Bang, 2010; Coyne & Cowley, 2007), 아동간호의 핵심 원칙으로 캐나다, 스웨덴, 호주 등의 국가에서 아동건강분야 정책에 반영되어 왔다(Lam, Chang, & Morrissey, 2006).
아동간호실무 영역에서 부모의 참여 개념은 입원 환아 간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의미와 속성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이며 모호하다(Coyne, 2007). 오늘날 환아 부모가 입원 환아 병동에 상주하는 것은 일반적이며, 아동과 가족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있어 부모 참여는 널리 수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실제 병원에 입원한 환아를 간호하는 상황 맥락 내에서 부모의 참여는 수동적인 의미에서의 ‘함께 있음’으로부터 전적인 간호 제공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명확한 정의와 참여 범위에 대한 합의는 부족한 실정이다(Davies, 2010; Pongjaturawit & Harrigan, 2003; Power & Frank, 2008). Coyne (1995)의 연구에 의하면 입원 환아 부모는 환아의 정서적 안녕을 위해 아동의 간호에 당연히 참여해야 한다고 여기면서도 부모가 해야 할 역할이 때때로 명확하지 않고 많은 경우 정보가 부족하며, 부모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한 협상이 없으므로 부모는 불안감과 고독감을 호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부모가 입원 환아 간호에 참여하고자 하는 것과 실제 입원 환아를 위해 수행할 수 있는 간호의 참여 범위 또는 아동간호사가 부모에게 기대하는 참여 범위에 대한 불일치는 부모의 불만족과 부모와 아동간호사 간의 잠재적인 갈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Kawik, 1996). 이러한 문제들은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불신을 야기하고, 간호사들 또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 적용에 대한 회의로 이어지면서 아동간호사와 부모 간의 심리적 장벽이 쌓이게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부모 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지만 부모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부모 참여 요구에 관한 인식이나 태도에 있어서도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Coyne, 2007; Daneman et al., 2003; Power & Frank, 2008). 많은 연구들에서 이러한 부분들이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가 부모의 참여를 실제 수행하는 데 있어 어려움으로 작용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아동간호사들은 스스로 부모 참여를 적용하는 데 있어 자신감과 지식의 부족을 호소하며, 부모의 참여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 참여 활동 준비를 위한 시간 부족, 부모들의 참여 부족, 부모 참여를 위한 환경 및 여건의 부족,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Coyne & Cowley, 2007). Corelett과 Twycross (2006)는 아동간호사의 경우 환아 부모를 간호에 참여시키는 것이 긍정적이라는 인식은 가지고 있지만 일상적으로 역할 협상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는 아동의 간호에 참여하고 싶어 하지만, 간호사와의 의사소통 부족과 협상의 제한으로 인해 부모의 참여가 항상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즉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는 입원 환아를 간호할 때 부모의 참여가 환아를 비롯하여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동간호실무 현장에서 부모의 참여는 대체로 일방향적이며 참여율이 낮고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병원에서 부모의 참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는 부모 참여의 필요성과 적용에 대한 의료기관의 정책 반영, 아동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진과 환아 부모의 인식 부족에서 찾을 수 있지만(Davies, 2010), 국내 아동간호실무 영역에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본연의 현상이나 정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요소들이 실제 연구에서 조작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또 그것들이 어떻게 경험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분명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아동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요인인 부모의 참여에 대한 개념적 속성과 명확한 정의를 규명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속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의 의미와 속성을 규명하고 그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로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 분석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을 선정한다.
둘째, 개념분석의 목적을 결정한다.
셋째, 개념의 사용 범위를 확인한다.
넷째, 개념의 결정적 속성을 확인한다.
다섯째, 개념의 모델 사례를 확인한다.
여섯째, 개념의 경계 사례, 반대 사례, 관련 사례를 확인한다.
일곱째,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자료수집및 분석

본 연구의 문헌검색 시기는 선행 연구인 입원 환아 간호의 부모의 참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Power & Frank, 2008)를 근거로 1994년 1월부터 2012년 4월까지로 하였다. 국내 문헌의 경우 입원 아동에 대한 ‘부모 참여’, ‘부모’, ‘참여’ 등을 주제어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한국학술정보원(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등의 학술지와 학위논문 정보를 검색하였고, 국외 문헌 검색은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PubMed 를 통해 ‘parent participation’, ‘parents’, ‘participation’, ‘hospitalized children’ 등을 주제어로 하여 검색하였다. 문헌 검색결과 국내 863건, 국외 166건으로 총 1,029건이었으며, 제목이나 초록을 확인한 결과 연구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개념인 병원에 입원한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에 적합하고, 한글이나 영어로 전문(full text)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 총 30건(국내문헌 1건, 국외문헌 29건)이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개념선정과 개념분석의 목적

개념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관심 개념을 선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를 개념으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개념분석의 목적을 결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을 적용하여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 속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개념적 정의를 내리는 데 있다.

개념의사용 범위 확인

‘부모의참여’에 대한 사전적 의미

부모의 참여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부모(parent)’에 대한 정의를 확인하였다. 부모라는 단어의 어원은 낳다, 기르다, ~을 산출하다라는 뜻의 라틴어인 ‘ parere’의 현재 분사의 명사 사용 형태인 ‘ parens’로부터 파생된 단어이다. 명사로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며, 조상, 선구자, 원조, 근원, 기원, 원인, 보호자 또는 수호자로 정의되며, 생물학 용어로는 다른 것을 생산하거나 발생시키는 유기체로 표현된다(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gic Korean Dictionary; Dictionary.com).
부모의 참여 개념을 구성하는 두 번째 단어는 ‘참여(participation)’이다. 참여는 후기 라틴어인 ‘ participation-’으로부터 파생되었으며, 중세 영어에서는 ‘ participacioun’으로 대체되었다. 명사로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여하는 행동 또는 경우, 이익 등에 한몫 끼기, 분배를 받기의 의미를 지니며, 법률 용어로는 재판 따위가 벌어지는 현장에 나가 지켜봄으로도 사용한다(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gic Korean Dictionary; Dictionary.com).
이상에서 살펴보듯이 부모 참여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통합해보면, 부모 참여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여하는 행동 또는 경우로 볼 수 있다.

문헌에서의 ‘부모의 참여’의 의미

문헌에서 부모의 참여(parent participation)는 그 참여 수준과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개념적인 차원에서도 연구 및 실무 영역과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Power & Frank, 2008).
일반적으로 부모 참여 개념은 교육학 분야에서 가정과 교육기관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환경으로 간주하여 교사와 부모, 학교와 가정의 맥락에서 많이 활용한다. 부모 참여는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기관이 갖추어야 할 주요한 요소로 가정과 교육기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협력을 인식하게 되면서, 학부모의 교육 관여(parent involvement), 교육 참여(parent participation) 등의 개념으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즉 부모 참여는 효율적인 아동의 교육과 발달을 위해 가정과 교육기관이 동반자적 입장에서 서로 능동적으로 협력하여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Bae, Bang, & Kwon, 2012). Cole (2007)은 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녀의 요구에 가장 잘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의 교육 활동에 학교와 부모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입원한 환아를 간호하는 데 있어 부모 참여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며, 특히 입원이 환아와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지난 수십 년간 연구되어 왔다. 부모와의 분리, 불안, 낯선 환경, 질병으로 인한 영향과 같은 입원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아동에게 가족 돌봄 제공자로서 부모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현 시점에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아동과 가족에게 이점이 있고, 부모와 아동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며 아동과 가족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수용되고 있다(Coyne & Cowley, 2007; Hopia, Tomlinson, Paavilainen, & Astedt-Kurki, 2005)
병원에 입원한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가족중심간호(fam-ily-centered care), 부모 관여(parent involvement), 부모 참여(parent participation), 파트너십 간호(partnership in care), 공동 간호(shared care) 등으로 기술되고 사용되어 왔다(McCann et al., 2008).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초기 개념은 5세 이하 환아의 경우 어머니가 병실에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병원의 규정에 따라 어머니와 함께 자며, 어머니가 씻기는 것 등을 포함하였다(Davies, 2010). 즉 아버지의 역할이 배제된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재가 환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어머니가 어린 환아와 함께 머물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점차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에 의한 돌봄이라는 맥락으로 부모가 할 수 있고 허용이 된다면 부모가 의료적인 부분과 간호를 담당할 수 있게 하는 개념으로 변화하였고, 가족이 함께 돌본다는 가족 관여로 개념이 확대되었다(Coyne, 1996).
최근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특히 부모와 환아 간의 독특한 관계에 좀 더 초점을 둔다. 부모는 아동의 신체, 심리 발달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며, 입원 환아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의사표현의 대리인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부모의 의견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그만큼 부모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정받았다는 것을 반영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Just, 2005).
입원 환아 간호의 부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사의 태도, 환아 부모와 간호사의 의사소통, 전문가들의 부적절한 정보, 역할 협상의 부족, 간호 인력의 적정 수 등이다(Pongjaturawit & Harrigan, 2003).
Espezel과 Canam (2003)은 질적연구를 통해 아동을 간호하는 것과관련하여 병원에서 간호사와 상호작용하는 부모의 경험을 탐색한 결과 부모들은 부모와 간호사 간의 라포(rapport)가 수립될 때 아동의 간호를 서로 공유하게 되며 개별화된 간호가 제공된다고 보았으나, 간호가 전적으로 간호사에 의해서만 제공될 때는 부모역할의 부재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Miceli와 Clark (2005) 또한 입원 환아의 부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아동간호에서 개선시켜야 할 일곱 가지 우선순위에서 아동의 치료에 관한 결정을 할 때 부모를 참여시키는 것을 포함시켜 제시하였다. Callery (1997)는 아동간호사와 가족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 가족의 요구가 다양한 이유 즉 시간제한, 간호사의 기술 부족, 가족 요구에 대한 인지 부족 등의 이유로 항상 충족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Hopia 등(2005) 또한 환아의 부모들은 아동간호사와 정서적 부담을 공유하고,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본인들이 직접 아동을 간호하거나 부모 스스로에 대한 실무적인 도움과 안내를 받고 싶어 한다고 보고하였다. Casey (1995)는 가족이 아동의 삶에 있어 긍정적이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 아동간호사는 가족을 좀 더 간호에 참여시키려고 한다고 하였으며, 반대로 가족의 지식에 의해 위협받는다고 느끼는 간호사는 부모의 참여를 제한하고 좀 더 통제하려고 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문헌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는 아동간호실무에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방식의 부모 참여가 이루어지거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적용은 어려운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개념의결정적 속성

본 연구에서 확인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 개념의 사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결정적 속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상호 호혜적으로 정보와 지식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협상(Negotiation)으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출발점이며 수용할 만한 동의가 도출되어야만 하는 과정이다(Sahlsten, Larsson, Sjöström, Lindencrona, & Plos, 2007).
둘째,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가 협상한 역할에 대한 실질적인 돌봄 활동 수행(Performing caring activity)이다(Lam et al., 2006).
셋째,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환아와 환아 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개별화된 간호 제공(Providing individualized care)이다(Coyne, 2007).
개념분석을 통해 확인된 의미와 속성을 토대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를 정의하면, 입원 환아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환아 부모가 환아 간호에 참여할 역할에 대해 아동간호사와 협상을 하고 협상한 돌봄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가 함께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념의모델 사례

모델 사례는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의 중요한 속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개념의 속성은 포함하지 않는 사례로 정확하게 그 개념이 무엇인지 보여준다(Walker & Avant, 2005).
4살 된 민아는 선천성 거대결장 환아로 증상이 악화되어 소아 내과 병동에 7번째 입원하였다. 입원 후 민아의 어머니는 항상 동일한 병동에 입원하기 때문에 입원할 때마다 민아를 주로 담당하는 아동간호사 A를 만났다. 아동간호사 A는 민아의 어머니에게 입원과 입원 사이에 특별한 일이 있었는지와 입원하게 된 구체적인 사유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아동간호사 A는 의사의 처방하에 투여되는 수액과 약물을 확인하였다. 병원의 규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민아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역할 범위에 대해 민아의 어머니와 상의하여 조정하였다. 아동간호사 A는 상의한 역할에 대해 민아의 어머니에게 재확인하였고, 상의한 사항에 대해 기록으로 남기고 아동간호사 B에게 인계를 통해 강조하였다. 민아의 어머니는 아동간호사 A와 조정한 역할 중의 하나인 중심정맥관 드레싱 보조를 수행하였다. 민아는 중심정맥관 드레싱을 하는 동안 어머니의 손을 붙잡고 안정된 상태로 누워 있었다.

개념의부가 사례(경계 사례, 반대 사례, 관련 사례)

경계사례

경계 사례는 모델 사례에서 제시된 개념의 모든 속성을 완전히 포함하지는 않으나 개념의 중요한 속성 가운데 일부를 포함하는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6살 현서는 뇌성마비 환아로 발열과 호흡곤란으로 인해 입원하였다. 입원 후 아동간호사 C는 병원의 규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현서의 어머니와 현서에게 제공하게 될 간호에 대한 역할 범위를 상의하였다. 또한 현서의 어머니는 의사와 상의하여 위관 영양을 제공하는 시간에 대해서 집에서 수행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제공하기로 하였음을 아동간호사 C에게 말하였다. 아동간호사 C는 신규간호사인 D 에게 현서 어머니와 상의한 역할 내용과 주의사항에 대해 인계를 통해 강조하였다. 현서 어머니는 아동간호사 C와 협상한 역할 중 하나인 기관절개관을 통한 흡인을 퇴원교육을 통해 배운 내용대로 가정에서 해왔듯이 수행하였다. 현서 어머니가 손을 씻기 위해 화장실에 간 사이 신규간호사 D는 영양실에서 올라온 관급식을 위관을 통해 연결하였다. 현서 어머니는 현서가 익숙하고 소화를 시키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한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인 식사를 제공하고 싶었는데 아동간호사 C와 약속한 시간이 아닌 시간에 관급식이 연결된 것에 대해 난감해하였다. 신규간호사 D는 아동간호사 C에게 관급식 제공시간에 대해 인계받은 사항을 들었음을 뒤늦게 깨닫고 현서 어머니에게 사과하였다. 신규간호사 D는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였으면 하는 후회와 앞으로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대사례

반대 사례는 개념의 중요한 속성이 전혀 들어있지 않는 사례로 그 개념이 아닌 것에 대한 분명한 예이다(Walker & Avant, 2005).
2살 건우는 미숙아로 태어나 괴사성 장염을 앓고 난 후 장루를 가지고 있다. 최근 장루를 통한 잔유량이 증가하고 복부팽만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였다. 아동간호사 E는 건우 어머니에게 정보를 수집하고 안내를 하였다. 건우 어머니는 입원한 날이 장루술 부위를 드레싱하는 날임을 아동간호사 E에게 알렸다. 아동간호사 E는 지금 너무 바쁘다고 하면서 드레싱 세트를 준비하여 건우 어머니에게 주고 집에서 어머니께서 하셨을 테니 건우 어머니에게 해달라고 하였다. 건우도 건우 어머니가 해주는 것을 더 좋아할 거라고 하면서 다른 환아의 방으로 들어가 버렸다.

관련사례

관련 사례는 분석하는 개념과 관련은 있으나 자세히 검토하면 다른 의미를 가진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아동간호사 F는 대학병원 아동 병동에 근무하는 2년 2개월차 간호사로 반복적인 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한 현아의 담당간호사이다. 현아 어머니는 직장에 다니기 때문에 현아가 입원해 있는 동안 현아의 외할머니가 현아를 돌보고 있다. 아동간호사 F는 현아의 외할머니에게 현아에게 약물을 주고 먹이시면 된다고 하였다. 잠시 후 아동간호사 F는 현아가 경구 투여 약물을 먹었는지 확인하였을 때 먹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현아의 외할머니는 현아에게 어떻게 먹여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개념의선행요인과 결과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선행요인은 환아의 연령과 상태, 환아 부모 참여 필요성에 대한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태도 및 상호 이해이다(Espezel & Canam, 2003; Pongjaturawit & Harrigan, 2003).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결과로는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환아의 간호를 공유하는 효율적인 파트너십이 이루어지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된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 힘과 동기를 부여하고 함께 자원과 기회를 제공하게 되면서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를 임파워먼트시키게 된다(Choi & Bang, 2010; Espezel & Canam, 2003; Hopia et al., 2005).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속성과 선행요인 및 결과와의 관계는 Figure 1에 제시하였다.
Figure 1.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arent participation’.
chnr-20-2-105f1.jpg

논의

아동이 입원해 있는 동안 입원 환아, 환아 부모, 아동간호사는 상호작용을 하고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입원한 아동에게 양질의 간호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부모의 참여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는 역동적이고 복잡한 과정이며,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개념이 발생하는 간호현상과 실제 적용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을 정립하고 명확한 이해를 위해 시도하였다.
환아 부모는 아동의 신체, 심리 발달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며 환아의 의사표현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개념 내에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함의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Coyne & Cowley, 2007). 본 연구에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 첫 번째 속성으로 ‘협상’이 도출되었는데, 실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역할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환아의 연령, 상태, 상황, 병원의 규정 등에 따라 참여 방법에 여러 가지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며 환아 부모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부모에 의해 시도되기보다는 아동간호사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동간호사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부분은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환아의 연령과 상태, 환아 부모 참여 필요성에 대한 환아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태도 및 상호 이해와 연계된 측면으로 향후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부모 참여를 합리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책과 간호중재전략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 속성으로는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가 협상한 역할에 대한 ‘실질적인 돌봄 활동 수행’으로 도출되었다. 아동간호사의 경우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를 전문직 정체성을 위협한다고 여길 수도 있고, 환아 부모의 경우 아동간호사가 업무를 전가시킨다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Paliadelis, Cruickshank, Wainohu, Winskill, & Stevens, 2005). 따라서 역할 협상을 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환아 부모를 공동간호제공자로 인식함과 더불어 입원 환아에게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환아와 환아 부모를 공동대상자로 수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환아 부모가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아동간호사는 부모의 신체적, 정서적 요구에 근거하여 부모에 대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는 세 번째 속성으로 도출된 ‘개별화된 간호 제공’과도 연계된다.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 참여에 대한 지각과 관련한 국외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수유, 기저귀 교환, 체온 측정 등 환아 부모가 수행할 수 있는 실무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다(Ygge, Lindholm, & Arnetz, 2006). 그러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우리나라의 경우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 참여에 대한 개념은 여전히 모호하고 적용 범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향후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내용 선정에 있어서 기관, 아동간호사, 환아 부모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1편을 제외한 29편의 국외문헌으로 개념분석을 시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으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추후 입원 환아 간호를 하는 데 있어 참여를 경험한 부모와 아동간호사의 부모 참여 과정을 밝힐 수 있는 질적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며, 반복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확인하지 못한 다양한 영향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임상 실무 분야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데 Ygge 등(2006)은 소아암 병동의 경우 환아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하는 데 있어 스트레스를 덜 받고 부모 참여 역할 범위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추가 연구를 수행해볼 것을 제언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입원 환아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부모참여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아동간호실무 영역에서 환아 부모가 참여하는 방법이나 내용 즉 역할은 환아 부모의 의사와는 제한적으로 고려됨이 확인되었다. 개념분석을 통해 확인된 의미와 속성을 토대로 확인된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 정의는 입원 환아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환아 부모가 환아 간호에 참여할 역할에 대해 아동간호사와 협상을 하고 협상한 돌봄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가 함께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향후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는 입원 환아 간호에 대한 부모의 참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역할 범위 및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구성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Bae, J. H., Bang, H. K., & Kwon, M. H. (2012).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parent involve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3), 49-66.

Callery, P. (1997). Caring for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A hidden area of nursing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5), 992-998.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7.00387_26_5.x
crossref pmid
Casey, A. (1995). Partnership nursing: Influences on involvement of infor-mal care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1058-1062.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5.tb03105.x
crossref pmid
Choi, M. Y., & Bang, K. S. (2010).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757-764. http://dx.doi.org/10.4040/jkan.2010.40.6.757
crossref pmid
Cole, B. (2007). Mother, gender and inclusion in the context of home-school relations. Support for Learning, 22(4), 165-173. http://dx.doi.org/10.1111/j.1467-9604.2007.00467.x
crossref
Corlette, J., & Twycross, A. (2006). Negotiation of parental roles within fam-ily-centered car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10), 1308-131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407.x
pmid
Coyne, I. (1995). Partnership in care: Parents’ views of participation in their hospitalized child's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4(2), 71-79. http://dx.doi.org/10.1111/j.1365-2702.1995.tb00014.x
crossref pmid
Coyne, I. (1996). Parent participation: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4), 733-740.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6.tb00045.x
crossref pmid
Coyne, I. (2007). Disruption of parent participation: Nurses’ strategies to manage parents on children's ward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23), 3150-315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928.x
crossref pmid
Coyne, I., & Cowley, S. (2007). Challenging the philosophy of partnership with parents: A grounded the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6), 893-90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3.002
crossref pmid
Daneman, S., Macaluso, J., & Guzzetta, C. (2003).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s toward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 hospitalized child.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8(3), 90-98. http://dx.doi.org/10.1111/j.1088-145x.2003.00090.x
crossref pmid
Davies, R. (2010). Mark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latt Report: From exclusion, to toleration 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 hospitalized child.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14(1), 6-23. http://dx.doi.org/10.1177/1367493509347058
crossref pmid pdf
Dictionary.com, LLC (1995). Dictionary.com, . Retrieved June 12, 2012, from. http://dictionary.reference.com

Espezel, H. J., & Canam, C. J. (2003). Parent-nurse interactions: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1), 34-41.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765.x
crossref pmid pdf
Hopia, H., Tomlinson, P. S., Paavilainen, E., & Astedt-Kurki, P. (2005). Child in hospital: Family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how nurses can promote family healt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2), 212-222.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4.01041.x
crossref pmid
Just, A. C. (2005).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bridging the gap in the pediatric ICU.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5(4), 179-187. http://dx.doi.org/10.1053/j.nainr.2005.08.002
crossref
Kawik, L. (1996). Nurses’ and parents’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in caring for a hospitalized child. British Journal of Nursing, 5(7), 430-437.
crossref pmid
Lam, L. W., Chang, A. M., & Morrissey, J. (2006). Par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5), 535-545.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5.07.009
crossref pmid
Maijala, H., Luukkaala, T., & Astedt-Kurki, P. (2009). Measuring parents’ perceptions of care: Psychometric development of a research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Nursing, 15(3), 343-359. http://dx.doi.org/10.1177/1074840709339167
pmid
McCann, D., Young, J., Watson, K., Ware, R. S., Pitcher, A., Bundy, R., et al (2008). Effectiveness of a tool to improve role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nurses. Paediatric Nursing, 20(5), 14-19. http://dx.doi.org/10.7748/paed2008.06.20.5.14.c8255
crossref
Miceli, P. J., & Clark, P. A. (2005). Our patient- my child: Seven priorities for improving pediatric care from the parent's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1), 43-53. http://dx.doi.org/10.1097/00001786-200501000-00008
crossref pmid
Paliadelis, P., Cruickshank, M., Wainohu, D., Winskill, R., & Stevens, H. (2005). Implementing family-centered care: An exploration of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paediatric nurses.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1), 31-36.

Pongjaturawit, Y., & Harrigan, R. C. (2003).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hospitalized child in Thai and Western culture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6(3), 183-99. http://dx.doi.org/10.1080/01460860390223934
crossref pmid
Power, N., & Franck, L. (2008).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6), 622-64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643.x
pmid
Sahlsten, M. J., Larsson, I. E., Sjöström, B., Lindencrona, C. S., & Plos, K. A. (2007). Patient participation in nursing care: Towards a concept clarification from a nurse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4), 630-63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660.x
crossref pmid
Shields, L., Young, J., & McCann, D. (2008). The needs of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in Australia.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12(1), 60-75. http://dx.doi.org/10.1177/1367493507085619
crossref pmid pd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4).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 Retrieved June 12, 2012,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Ygge, B., Lindholm, C., & Arnetz, J. (2006). Hospital staff perceptions of parental involvement in paediatric hospital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5), 534-542.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755.x
crossref pmid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