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3(1):2017 > Article
중독예방에 대한 중학교 교과서 내용 분석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ddiction prevention related content shown in middle school text books.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the terms “addiction”, “drug”, “medicine”, “personal preference”, “smoking”, “drinking”, “sex”, “misuse” or “abuse”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creened the table of contents of 23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textbooks from the 2009 curriculum. Finally 13 textbooks (physical education=10, health=3)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nalyzed using Krippendorff's contents analysis.

Resul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textbooks, content related to addiction prevention included material addiction (77.8%) and behavioral addiction (22.2%). The construction of addiction preven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s included understanding addiction, rejection of peer temptation, and empowerment of self-control.

Conclusion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for addiction prevention that targets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with accurate addiction inform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tudents have the correct knowledge about addiction and addiction prevention. Additionally, the ability to reject peer temptation when invited to act upon related addiction behaviors should be treated seriously. The empowerment of self-control is also important, and can be promoted through strengthening self-regulation competence.

서 론

연구의 배경

2013년 우리나라 국민의 약 6.8%가 중독으로 인한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2013년 국내의 술, 게임, 사행산업의 규모는 38조원으로[1], 현대사회는 알코올 및 도박, 마약, 미디어 콘텐츠 등 다양한 중독관련 산업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중독에 노출되어 있다. 중독이란 특정한 물질이나 행동에 빠져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2], 최근 개인이나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중독의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면서 중독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중독문제는 중독자의 심리적, 신체적, 직업적, 대인 관계적 피해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및 아동 ·청소년 발달 저해 등 사회·경제적 폐해를 초래한다[2]. 보건복지부에서도 청소년의 중독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제1차 아동 정책 기본 계획에 중독증상을 조기 발견하고 관리하는 정책을 포함하였다[3].
청소년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는 통제력이 부족하여 중독에 취약하다. 청소년의 중독은 정서적 황폐화, 정체성 확립 방해, 자기통제력 감소, 학교 부적응 등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뿐만 아니라 폭력, 범죄, 자살 등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며 더 나아가 성인기의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2,4]. 또한 흡연을 하는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으로 쉽게 이환되고[5] 인터넷 중독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다른 행위 중독인 게임, 음란물에 쉽게 중독된다[6]. 따라서 청소년은 음주, 흡연, 인터넷과 같은 특정 중독에 노출이 되면 다른 중독으로 쉽게 이환되기 때문에 적극적인 중독예방 개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중학생 시기에 주로 흡연, 음주, 성, 인터넷, 게임 등 다양한 중독에 노출된다[7]. 중학생은 심리적 갈등, 학업 스트레스와 같은 어려움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주, 흡연, 인터넷, 게임 등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어 중독에 빠질 위험이 크다[8,9]. 최근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9.7%, 스마트폰 중독률은 26.7%이고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11.7%, 스마트폰 중독률은 27.7%이며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12.5%, 스마트폰 중독률은 20.5%인 것에 비해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13.2%, 스마트폰 중독률은 33.0%로 다른 연령층보다 중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 따라서 중학생 시기는 중독에 빠지기 쉽고, 심각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중독예방 접근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독예방에 대해 시도된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음주, 흡연,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게임 중독 등 하나의 중독 유형에만 초점을 두었다[1113]. 물질 중독과 행위 중독은 중독의 원인이 다를 뿐, 중독으로 이환되는 과정과 폐해가 유사하다[14]. 또한 물질에 해당하는 흡연을 하는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으로 쉽게 이환되고[5] 인터넷 중독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다른 행위 중독인 게임, 음란물에 쉽게 중독된다[15]. 따라서 최근에는 특정 중독 유형보다는 중독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16,17].
중학생은 또래의 행동을 모방하며 또래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로 의미 있는 또래집단의 성격에 따라 중독 위험성이 결정된다[15]. 따라서 효율적인 중독예방을 위해 개별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학교 중심의 또래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18]. 또한 중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19]. 따라서 중학교에서 학급단위로 중재할 수 있는 학교기반의 교육은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중독예방에 대한 지식이나 가치관, 습관 등을 반복적이며 체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라는 현장에서 중독예방에 대한 중재를 할 때, 지식은 물론 태도와 실천의 변화를 유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매체는 교과서이다[20].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은 오류가 있거나 불충분한 경우가 많아[21] 실제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서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간호 관련 내용분석[22], 중 ·고등학교 교과서의 인간생명존중 내용분석[23], 초·중 ·고등학교 교과서의 응급처치 내용분석이[24] 시도되었다. 따라서 중학생의 중독문제가 대두되면서 중독예방의 중재가 시급한 이 시점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효과적인 중학생 중독예방을 위한 학교기반의 체계적인 중독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중독예방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중독예방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독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중독예방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중독예방 내용의 구성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중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 대상은 중학교 교과서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교과서의 구체적인 포함기준과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 포함기준

  • - 중학교 교과서

  • -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 - 목차에 ‘중독’, ‘약물’, ‘의약품’, ‘기호품’, ‘흡연’, ‘음주’, ‘성’, ‘오용’ 또는 ‘남용’이라는 단어가 하나라도 있는 교과서

  • 제외기준

  • - 사회과부도, 역사, 역사부도, 제2외국어, 기타 교과목(내 마음을 펼쳐요,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도서관과 정보생활, 생활과 종교, 스크레치 프로그래밍, 신명나는 토론교실, 아름다운 독도, 에너지 프로젝트 1331, 옛날부터 우리 땅 독도, 중학 논술, 진로체험과 포트폴리오, 창의와 인성,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본 연구진은 자료 수집을 위해 먼저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교과목별로 1–2권씩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국어 2권, 수학 2권, 과학 2권, 사회 2권, 도덕 2권, 기술·가정 2권, 체육 2권, 음악 1권, 미술 1권, 영어 2권, 한문 1권, 정보 1권, 보건 2권, 진로와 직업 1권, 총 23권 교과서를 선정하여 각 교과서의 목차를 분석하였다. 목차에서 ‘중독’, ‘약물’, ‘의약품’, ‘기호품’, ‘흡연’, ‘음주’, ‘성’, ‘오용’, ‘남용’ 중 하나라도 겹치는 단어가 있는 교과목을 선별하였다. 연구자들이 각자 23권의 목차를 확인하였고, 회의를 통해 각자 확인한 내용을 비교하고 재확인하여 선정한 최종 교과목은 체육(2권)과 보건(2권)으로 총 4권이었다. 2016년 8월 1일부터 5일까지 서점 방문과 온라인 주문을 통해 체육 8권과 보건 교과서 1권, 총 9권을 추가로 수집하였다(Figure 1).
Figure 1.
Flow diagram.
chnr-23-1-19f1.gif

자료의 질 평가

본 연구자들은 문헌고찰과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질 평가를 위한 선정기준을 정하였다.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물질중독(약물중독, 니코틴 중독, 알코올 중독 등) 예방과 관련된 내용이 있는가?, 행위중독(성 중독,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중독 등) 예방과 관련된 내용이 있는가? 이 기준을 바탕으로 각 연구자 별로 13권의 교과서를 저자, 교과목명,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연도, 교육과정, 교과서 검인정 기관, 중독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매트릭스를 작성하였다(Table 1). 그리고 두 차례의 회의를 통해 각자가 작성한 매트릭스를 비교 분석하여 하나의 매트릭스로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의 질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13권의 자료는 모두 적절하다고 판단하였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Table 1.
Matrix of Analyzed Middle School Textbooks Related to Addiction Prevention
No. First author Title Edition Location Publisher Year Curriculum Authorized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addiction
1 Ahn, Y.O. Physical education First Seoul Jihak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2 Kim, B. C. Physical education First Seoul Kyohak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3 Chung, C. S. Physical education First Seoul Kumsung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4 Chung, Y.R. Physical education Second Seoul Chunjae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5 Lee, K. C. Physical education First Paju Hyungseul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6 Shin, W. S. Creative-Intellectual Physical education First Suwo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6 2009 Gyeonggi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7 Hwang, 1. Physical education First Seoul YBM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8 Kang, S. B. Physical education Second Seoul Donga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9 Lee, J.Y. Physical education Third Seoul Chunjae education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10 Lee, M. P. Physical education First Seoul Visang education 2016 2009 Gwangj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11 Han, M.R. Health First Seoul Deulsaem 2014 2009 Daeg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Behavioral addiction
12 Cha, M.H. Health First Daegu Donghwasa 2015 2009 Daeg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13 Chung, H.J. Health Second Seoul Chunjae 2016 2009 Daegu Metropolitan City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rnet addiction
Drug addiction
Sex addiction
Nicotine addiction
Alcohol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Behavioral addiction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는 Krippendorff[25]가 제시한 내용분석의 지침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전 과정에서 Krippendorff[25]의 내용분석 지침을 엄격하게 따르고자 매 단계마다 연구자들이 심도 있게 논의하고 점검하였다. Krippendorff[25]에 따르면 첫 번째 단계는 연구자가 자료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자들은 중학교 교과서를 이해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타당한지 평가하는 자료의 질 평가 단계에서 매트릭스를 작성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의미 있는 진술을 찾아내는 것으로 각 연구자가 수집된 자료를 2회 정독하여 중독예방과 관련하여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 내용을 코딩하면서 분석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두 차례 회의를 통해 코딩한 자료를 취합하였다. 동일한 코딩은 유지하고, 동일하지 않은 코딩은 연구자들 간의 의견이 합치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범주화 단계로 연구자들은 중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중독예방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의미 있는 내용을 개념화 하였고, 이 개념들 중 서로 관계있거나 유사한 것을 결집하여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Krippendorff[25]의 내용분석 지침에는 없는 단계이지만 중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중독예방의 내용 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연구자가 코딩을 하면서 기록한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중독예방 내용의 구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중독예방 내용 분석

최종 선정된 중학교 교과서 13권을 대상으로 중독예방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중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중독예방과 관련한 내용은 총 644개였다.
Table 2.
Analysis of Content Related to Addiction Preven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s (N=644)
Classify n (%) Category n (%) Subcategory n (%) Contents n (%) Text
Figure
Activity
n (%) n (%) n (%)
Material addiction 501 (77.8) Drug 242 (37.6) Concept of drug addiction 139 (21.6) Definition of drug 13 (2.0) 11 (1.7) 2 (0.3)
Abuse of drugs 30 (4.7) 22 (3.4) 5 (0.8) 3 (0.5)
Definition of drug addiction 17 (2.6) 10 (1.6) 7 (1.1)
Type of drug 40 (6.2) 29 (4.5) 10 (1.6) 1 (0.2)
Characteristics of drugs 15 (2.3) 13 (2.0) 2 (0.3)
Definition of caffeine 24 (3.7) 11 (1.7) 12 (1.9) 1 (0.2)
Harmful effect of drug addiction 36 (5.6) Dangers of drug use 27 (4.2) 8 (1.2) 15 (2.3) 4 (0.6)
Dangers of caffeine abuse 9 (1.4) 3 (0.5) 4 (0.6) 2 (0.3)
Prevention of drug addiction 67 (10.4) Safe drug usage 38 (5.9) 16 (2.5) 16 (2.5) 6 (0.9)
Drug addiction prevention 29 (4.5) 10 (1.6) 7 (1.1) 12 (1.9)
Nicotine 150 (23.3) Concept of nicotine addiction 53 (8.2) Definition of nicotine 18 (2.8) 8 (1.2) 9 (1.4) 1 (0.2)
Definition of nicotine addiction 2 (0.3) 1 (0.2) 1 (0.2)
Nicotine and health 10 (1.6) 2 (0.3) 4 (0.6) 4 (0.6)
Adolescents smoking 5 (0.8) 5 (0.8)
Definition of smoking 18 (2.8) 9 (1.4) 8 (1.2) 1 (0.2)
Harmful effect of nicotine addiction 42 (6.5) Dangers of nicotine addiction 5 (0.8) 2 (0.3) 3 (0.5)
Dangers of adolescents smoking 20 (3.1) 10 (1.6) 9 (1.4) 1 (0.2)
Dangers of smoking 17 (2.6) 8 (1.2) 8 (1.2) 1 (0.2)
Prevention of nicotine addiction 55 (8.5) No smoking 22 (3.4) 4 (0.6) 12 (1.9) 6 (0.9)
Nicotine addiction prevention 21 (3.3) 3 (0.5) 12 (1.9) 6 (0.9)
Rejection in the peer temptation 10 (1.6) 4 (0.6) 2 (0.3) 4 (0.6)
Healthy lifestyle self-test 2 (0.3) 2 (0.3)
Alcohol 109 (16.9) Concept of alcohol addiction 28 (4.3) Definition of alcohol 23 (3.6) 16 (2.5) 7 (1.1)
Definition of alcohol addiction 5 (0.8) 4 (0.6) 1 (0.2)
Harmful effect of alcohol addiction 38 (5.9) Ddangers of alcohol addiction 38 (5.9) 17 (2.6) 14 (2.2) 2 (0.3)
Prevention of alcohol addiction 43 (6.7) Alcohol addiction prevention 36 (5.6) 9 (1.4) 14 (2.2) 13 (2.0)
Alcohol addiction self-test 7 (1.1) 7 (1.1)
Behavioral addiction 143 (22.2) Sex 87 (13.5) Concept of sexual addiction 60 (9.3) Definition of sexual 17 (2.6) 7 (1.1) 6 (0.9) 4 (0.6)
Characteristic of adolescents sexuality 34 (5.3) 22 (3.4) 7 (1.1) 5 (0.8)
Definition of sexual addiction 9 (1.4) 2 (0.3) 6 (0.9) 1 (0.2)
Harmful effect of sexual addiction 3 (0.5) Adolescent sexual risk behavior 3 (0.5) 2 (0.3) 1 (0.2)
Prevention of sexual addiction 24 (3.7) Sexual addiction prevention 11 (1.7) 5 (0.8) 3 (0.5) 3 (0.5)
Sexual self-determination 12 (1.9) 6 (0.9) 3 (0.5) 3 (0.5)
Prostitution act 1 (0.2) 1 (0.2)
Internet 40 (6.2) Concept of internet addiction 18 (2.8) Definition of internet addiction 4 (0.6) 3 (0.5) 1 (0.2)
Definition of online game addiction 3 (0.5) 1 (0.2) 2 (0.3)
Defini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ddiction 1 (0.2) 1 (0.2)
Type of internet addiction 4 (0.6) 1 (0.2) 3 (0.5)
Risk leisure activities 4 (0.6) 2 (0.3) 2 (0.3)
Shutdown 2 (0.3) 1 (0.2) 1 (0.2)
Harmful effect internet addiction 6 (0.9) Dangers of internet addiction 4 (0.6) 1 (0.2) 2 (0.3) 1 (0.2)
Dangers of online game addiction 1 (0.2) 1 (0.2)
Dangers of SNS addiction 1 (0.2) 1 (0.2)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16 (2.5)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6 (0.9) 3 (0.5) 1 (0.2) 2 (0.3)
Online game addiction prevention 1 (0.2) 1 (0.2)
SNS addiction prevention 4 (0.6) 2 (0.3) 2 (0.3)
Internet addiction self-test 2 (0.3) 2 (0.3)
Online game addiction self-test 2 (0.3) 2 (0.3)
Healthy lifestyle self-test 1 (0.2) 1 (0.2)
Behave 9 (1.4) Concept of behavioral addiction 8 (1.2) Definition of behavioral addiction 2 (0.3) 2 (0.3)
Definition of shopping addiction 2 (0.3) 1 (0.2) 1 (0.2)
Definition of exercise addiction 1 (0.2) 1 (0.2)
Definition of gambling addiction 1 (0.2) 1 (0.2)
Definition of workaholic 1 (0.2) 1 (0.2)
Definition of bulimia nervosa 1 (0.2) 1 (0.2)
Harmful effect of behavioral addiction 1 (0.2) Dangers of behavioral addiction 1 (0.2) 1 (0.2)
Smart-phone 7 (1.1) Concept of smart-phone addiction 6 (0.9) Definition of smart-phone addiction 3 (0.5) 2 (0.3) 1 (0.2)
Smart-phone addiction effects 3 (0.5) 3 (0.5)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1 (0.2)
Smart-phone addiction self-test
1 (0.2)


1 (0.2)
Total 644 (100.0) 644 (100.0) 644 (100.0) 644 (100.0)
물질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이 77.8%, 행위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이 22.2%로 나타났다. 물질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은 약물(37.6%), 니코틴(23.3%), 알코올(16.9%) 순이었고 행위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은 성(13.5%), 인터넷(6.2%), 행위(1.4%), 스마트폰(1.1%) 순이었다. 각 유형별로 개념, 중독의 폐해, 중독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과서의 구성은 중학생의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중독예방 관련 내용은 글을 위주로 그림, 사진, 만화와 같은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였다. 또한 중독예방 방법이나 대처방법과 같은 구체적인 실천 방법에 대해 토론하기, 중독과 관련된 실제 사례 분석하기, 중독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국내 문화 분석하기, 중독과 중독예방에 대한 자기인식 분석하기, 중독예방에 대한 홍보물·포스터·다짐문 만들기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중학생이 스스로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중독예방 내용 구성

본 연구결과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중독예방과 관련하여 주로 중독 이해, 또래 유혹 거절, 자기통제력 향상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Table 3).
Table 3.
Construction of Addiction Preven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s
Category Contents
Understanding addiction 1. Type and definition of addiction
2. Current st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ion
3. Harmful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ion
Rejection of peer temptation 1. Promotion of self-esteem
2. Self-assertive refusal
3. Escape the situation
Empowerment of self-control 1. The correct practice methods
2.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skill
3. Self-evaluation
중학생의 중독예방을 위해 중독의 유형과 정의를 설명하여 중독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흡입제 사용 경험, 청소년 약물남용 경험률, 흡입제 사용 이유, 학년별 평생 흡연 경험률, 청소년 흡연 경험률, 흡연 시작 연령과 폐암 사망률, 청소년 음주 경험률, 음란물 이용률, 청소년 성매매 경로 및 동기,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현황 등의 다양한 통계치를 인용하여 중학생의 중독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대상 아동의 발달단계가 청소년임을 고려하여 중독이 청소년기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약물 오남용의 유해성, 청소년기 니코틴 중독의 위험, 청소년기 음주의 해로움, 음란물의 영향과 같은 중학생 중독의 폐해를 다루었다.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중독예방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설명하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례와 낮은 사례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또래친구를 중요시하는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또래 압력에 대처하기, 친구의 약물 권유를 거절하는 요령, 흡연 거절 방법, 음주 유혹 거절, 성적 자기결정권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중학생이 자기주장적 거절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유해물질 피하기, 스트레스 관리, 바람직한 여가활동의 내용을 통해 중독의 위험상황에서 벗어나기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약물 오남용 대처방법, 올바른 의약품 사용법, 금연 실천 방법, 음주 예방법, 음란물 노출 예방법, 인터넷 중독 예방법 등과 같은 올바른 실천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올바른 스트레스 관리 방법과 물질에 대한 자기절제를 통해 중학생이 자기조절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그리고 생활습관 자가 진단, 약물 오남용 자가 평가, 흡연관련 자가 평가, 음주관련 자가 평가, 문제음주 청소년 자가 진단, 게임중독 자가 진단, 인터넷 중독 자가 진단, 휴대전화 중독 자가 진단 방법을 소개하여 중학생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평가하여 자기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중학생의 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에 따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중학생의 중독예방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중학생 중독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과서 13권을 바탕으로 Krip-pendorff[25]의 지침에 따라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시행하였다.
최근 중독에 대한 접근은 흡연, 음주, 약물 등 물질 중독보다 인터넷, 도박, 섭식, 쇼핑, 성,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행위 중독에 더 주목하고 있다[12,17]. 하지만 중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중독 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물질 중독에 대한 내용은 77.8%인 반면 행위 중독에 대한 내용은 22.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중독에 대한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행위 중독 중에서 성 중독과 관련된 내용이 1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은 자아정체감은 확립되지 않은 반면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성에 대한 욕구와 관심은 급증하는 발달단계이기 때문에[6,15] 성 중독에 취약하다. 이러한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학교 교과서에서 성과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다룬 것으로 생각된다. 2014년 청소년유해환경접촉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은 중학교 1학년 때 처음으로 성인물을 접한다[26]. 또한 2015년 청소년 온라인 행태조사에서는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평균적인 첫 경험 시기가 중학교 1학년이라고 보고하였다[7]. 성 가치관이 성숙되지 않은 청소년 시기의 무분별한 음란물 접촉은 그릇된 성 의식과 성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 치고[6], 성 행동에 더 쉽게 중독된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상담학, 심리학, 사회학 분야에서는 청소년의 성 중독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6,27]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간호학적인 접근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 중독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016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13.2%이고, 스마트폰 중독룰은 33.0%로 초등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중에서 가장 높다[10]. 따라서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예방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는 대상으로서 중학생은 청소년의 어느 집단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 중학교 교과서에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내용은 6.2%,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내용은 1.1%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 중독예방에 대한 현실적인 교육을 제공하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스마트폰은 컴퓨터에 비해 접근성이 높고 즉각적으로 인터넷 검색, 게임, SNS 등 사용이 가능한 편리한 매체이기 때문에 중독의 위험이 인터넷 보다 높다[28]. 실제로 중학생 3명 중 1명이 스마트폰 중독이며,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2011년 10.4%에서 2014년 12.5%로 증가한 반면 스마트폰 중독률은 2011년 11.4%에서 2014년 29.2%로 증가하여 상승폭이 인터넷 중독률보다 크다[10,28].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중학교에서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다루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중학교 교과서를 개정할 때에는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와 예방방법 등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해 교과서 외의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중독 예방 구성의 첫 번째는 중독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Koo와 Park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은 중독 예방을 위해서 중독에 대한 개념과 실태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다[11].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여러 유형의 중독에 대한 정의와 현황, 그리고 위험성과 같은 폐해에 대해 다루어 실제 학생의 교육 요구도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또래의 유혹을 거절하는 것이다. 중학교 교과서는 또래 친구가 위험행동을 하자고 유혹할 때 높은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자기주장적 거절을 행사하여 위기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중학생에게 또래집단은 가장 의미 있는 존재로, 이 시기 아동은 또래행동 모방을 통해 또래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15]. 그렇기 때문에 주위에 중독에 빠질 위험 행동을 하는 친구가 많을수록 위험중독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독 예방에 대한 중재를 할 때에는 또래 유혹을 거절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학생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한 Koo는 청소년의 행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12].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교과서에서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 중독예방을 위한 전략 개발 시 개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현명하게 또래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방법을 다각도로 찾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은 자기통제력 향상이다.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행동을 원하는 대로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29]. 중학교 교과서는 다양한 중독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방법과 중독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이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스스로 중독예방을 위해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청소년의 중독성을 예측하는 변인을 파악한 Park의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변인 중 자기통제가 청소년 중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자기통제가 높은 청소년이 중독 위험이 낮다[17].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를 제공할 때 자기통제를 높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물질 중독과 행위 중독은 각각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중독 증상의 과정과 특징이 유사하여[14] 최근에는 특정 중독보다는 중독 자체에 초점을 두어 접근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은 다양한 유형에 복합적으로 중독되기 쉽고, 단일 유형에 중독되더라도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다른 중독으로 쉽게 이환된다[9]. 따라서 청소년 중독 예방에 대해 물질 중독과 행위 중독을 통합하여 다루는 것이 중요하며, 다양한 유형의 중독을 한 번에 통합적으로 다룰 경우 비용효과적인 면에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30]. 한편 또래집단이 청소년의 행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집단이기 때문에[15] 청소년은 또래집단과 함께 학교중심의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 뿐만 아니라 학급과 같은 집단 단위로 접근하는 중재는 중독에 이환된 중학생과 비중독 중학생을 포함하여 중독예방 중재를 제공할 수 있어서 중학생 중독예방 중재의 필수적인 방법이다[17]. 따라서 중학교에서 현재 사용하는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기반의 중독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어떠한 내용을 어떠한 방법으로 다루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중학교 교과서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지 못하여 청소년의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의 연속성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중학교 교과서를 개정할 때 행위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여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을 풍부하게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행위중독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중독에 대한 설명, 또래 유혹 거절, 자기통제력 향상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등학교 교과서의 중독 예방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확장연구를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청소년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다. 중학생은 고등학생이나 성인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률이 높아 중독예방에 관심을 가져야할 시기이고, 중학생이 또래집단을 중요시하는 청소년기임을 고려했을 때 학교에서 중독예방에 대한 중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단기간의 일회성의 중재가 아니라 반복적인 중재를 위해 중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중학교 교과서를 바탕으로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중학교 교과서 13권의 중독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교과서는 행위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였고, 여러 유형의 행위 중독 중에서도 스마트폰 중독예방에 대한 내용이 빈약하였다. 그리고 중학생 중독 예방을 위해 중독 이해, 또래 유혹 거절, 자기통제력 향상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독예방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중학생이 중독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또래집단이 중요한 청소년시기임을 감안하여 친구가 중독 위험행위를 권유할 때 효과적으로 거절하여 위험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학생 자기조절능력을 갖추어 자기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Kim HW. Addiction is not a will but a disease [Internet]. Seoul: The Segye Times; 2015. [cited 2016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9/14/20150914001124.html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nd ed.. United State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p. 481-590.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2019 Child Policy Basic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p 16.

4. Hicks BM, Iacono WG, McGue M. Consequences of an adolescent onset and persistent course of alcohol dependence in men: adolescent risk factors and adult outcom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10;34(5):819-833. http://dx.doi.org/10.1111/j.1530-0277.2010.01154.x
crossref
5. Kim DS, Kim YS, Kim SH, Jang YH, Jang MS, Park J.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experience an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2;7(4):937-944.
crossref
6. Nam YO, Lee SJ.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Cyber-sex Addiction, Exposure to Cyber Obscenities and Cyber Sexu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2;9(3):185-212.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1th (2015) online survey statistics of adolescents health behavior. Health Evaluation Report. Cheingju-si: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December. Report No.:11-1460736-000038-10.

8. Ah YA, Jeong WC.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and Family Conflicts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0;12(4):257-277.

9. Shek DL, Hing KM, Rachel CS. A brief overview of adolescent developmental problems in Hong Kong.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1;11:2243-2256. http://dx.doi.org/10.1100/2011/896835
crossref pmid pmc pdf
10. Statistics Korea. 2016 adolescent statistics. Health Evaluation Repor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May.

11. Kim KS, Kim KH. A prediction model for internet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using a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3):378-388.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378
crossref pmid
12. Koo H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cell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2):91-99.
crossref
13. Jeon YC.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2010;1(1):89-109.

14. Kim KH. A way to overcome addiction, to modern dunge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4):667-693. http://dx.doi.org/10.17315/kjhp.2007.12.4.001

15. Hong KJ. Pediatric nursing for infants and children. 9th ed.. Paju: Soomoonsa; 2012. p. 848-849.

16. Park HS, Jung SY. Predictors of addictive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3):592-607.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592
crossref
17. Park HS. The study on predictors of addictive personality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4):263-271.
crossref
18. Faggiano F, Vigna-Taglianti F, Burkhart G, Bohrn K, Cuomo L, Gregori D,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 18-month follow-up of the EU-Dap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rug and Alcohol Dependence. 2010;108(1):56-64.
crossref pmid
19. Statistics Korea. 2014 Life Time Survey. Health Evaluation Repor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June.

20. Paik NJ. An examination of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in textbook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008;39(1):239-267.

21. de Irala J, Urdiain IG, López Del Burgo C. Analysis of content about sexuality and human reproduction in school textbooks in Spain. Public Health. 2008;122(10):1093-1103. http://dx.doi.org/10.1016/j.puhe.2008.01.005
crossref pmid
22. Jung MS, Choi HW, Lee DM. Analysis of nursing-related content portray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under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33-42.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33
crossref pmid
23. Kang KA, Kim YH, Lee JJ, Lee MN.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portrayed in the 7th to 10th grad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82-290.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82
crossref
24. Kim SJ, Lee JE, Kang KA, Song MK, Chang EY, Kim SH. Contents analysis of first ai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stbook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14(2):163-175.

25.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Beverly Hills: Sage; 2004. p. 81-89.

26. Im HJ, Baek HJ, Kim HJ, Hwang YJ, Ahn JS. Comprehensive survey on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environment in 2014.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4. December. Report No.: 11-1383000-000607-11.

27. Kim MN.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ex offences and pornography addiction.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2012;2(1):47-71.

28. Ministry of Science. 2014 Internet addiction survey.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Gwacheon: Ministry of Science; 2014. April.

29. Rosenbaum M, Ronen T. Emotional well-being and self-control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Israeli perspective. New York: Springer; 2013. p. 209-229.

30. Park HS, Jung SY. Construction of the addiction prevention core competency model preventing addictive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14-72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14
crossref pmid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