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1(3):2015 > Article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ease prevalence, parent’s educational needs, and disease management according to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s in early childhood.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73 mothers whose child was admitted to I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whose child was an infant or toddler.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7, 2014 to February, 15, 2015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SPSS 21.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according to neonatal admission due to dyspnea, feeding type, atopic dermatitis in the infant or allergic disease in father and siblings. Par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severe respiratory infection group were higher than for the non-severe group. Parent’s disease management for the severe respiratory infection group was lower than the non-severe group.

Conclusion:

As important care factors in neonatal admissions include dyspnea, cow milk feeding, eczema, family history of allergies, parent’s educational needs and disease management, they should be considered when caring for young children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nd their parent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호흡기질환은 영유아기의 급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차지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못하였을 경우 아동의 성장 발달뿐만 아니라 심한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기능이 미성숙하고, 호흡기 부속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지 못하여, 기관에서 종말 세기관지까지 호흡기도 사이의 간격이 짧으므로 영유아기의 어린 아동은 호흡기 감염에 민감하고, 입원과 집중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1].
호흡기 감염은 콧물이나 기침, 인후염과 같은 상기도 염증뿐만 아니라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과 같은 하기도 감염증을 포함한다[2]. 이러한 영유아기 호흡기질환은 부모를 비롯한 전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아동에게 호흡곤란, 발열, 거친 호흡 소리, 피부색의 변화, 식욕저하, 지친모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아동의 호흡기질환 중증도에 따라 가족은 아동의 평상시와는 다른 모습에 당황스러워하고, 아동의 안녕 상태가 위협받을 수 있음에 대한 높은 불안감과 돌봄으로 인한 피로감으로[3]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영유아를 돌보는 소아병동 간호사는 아동의 호흡기질환 중증도를 고려하여 호흡기질환 예방과 관련된 건강문제, 질병예방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녀의 건강관리수행에 대한 부모의 요구와 관리수행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돌봄을 제공해야 한다. 호흡기질환 환아의 건강과 회복은 가족의 관리수행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아동의 중증도와 가족의 요구를 고려한 간호교육은 환아의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간호영역이다.
아동의 호흡기질환 이환실태와 관련하여 Shin 등[4]은 부모의 흡연, 모유수유보다 분유수유를 하는 경우, 미숙아, 엄마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아동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서 영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호흡기 감염 아동의 가족의 교육 요구와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교육 요구가 높은 영역은 진단과 치료, 검사결과에 대한 항목, 퇴원 후 관리, 입원 중 관리의 순으로 나타났고[5] 감염관리 부모교육의 시기는 아동의 나이가 어릴 때, 첫째 아이를 돌보고 있을 때를 적절한 시기라고 하였다[6]. 호흡기질환 관리 수행 정도에 대해서는 환경위생관리, 예방관리, 증상관리 수행 순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보호자가 돌보는 아동의 연령이 많아질수록, 지난 1년간 호흡기 감염에 걸린 횟수가 많을수록, 호흡기질환으로 입원한 횟수가 많을수록, 아동에게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호흡기 감염 증상관리 수행을 잘하며, 학령전기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가 영유아를 돌보는 어머니보다 환경위생관리 수행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한편, 2세 이하 아동의 세기관지염의 중증도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호흡기 바이러스의 중복감염, 남아, 미숙아, 3개월 미만 아동, 만성 심폐질환이 있는 경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 어머니의 연령,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부모의 교육수준 또한 폐렴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2개월 이하의 아동일 경우 세 기관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아 상태의 중증도와 관련하여서 응급실에 방문한 횟수와 흉부견축의 심각도, 부적절한 구강섭취는 중환자실 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설명하였다[9].
Fisher [10]의 연구에서는 아동 질환의 중증도 및 가족의 요구에 따라 행해지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관리수행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영유아의 호흡기질환과 관련되어진 연구는 호흡기질환과 관련된 효과검증 연구[11], 호흡기 전염병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12], 호흡기질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에 관한 효과검증 연구[13]가 주를 이루고 있고 영유아기 호흡기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영유아기 호흡기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중재개발에 대한 근거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질병관리수행정도를 파악함으로서 호흡기 감염성 질환 환아 및 가족을 위한 간호 중재를 시행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영유아호흡기감염중증도에따른이환실태의차이를파악한다.

  • 2)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부모의 교육요구의 차이를 파악한다.

  • 3)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부모의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용어의 정의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

영유아 호흡기 감염의 증상에 따른 진단적 기준은 발열, 기침의 형태, 호흡곤란의 형태이다[14]. 본 연구에서는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투약을 통해 발열, 기침문제는 조절되고 있었으나 계속되는 치료에도 호흡곤란을 보이고 있어 Silverman–Anderson 지표에 따른 호흡곤란 평가기준[15]에 따라 중증군과 비 중증군을 구분하였다. 5개 측정항목(가슴과 배의 운동, 늑간함몰, 검상돌기 함몰, 콧구멍의 확장, 호기 시 신음소리)에서 한 항목 당 0, 1, 2점의 단계로 나누어 합계 점수가 많을수록 심한 호흡장애가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총합 점수가 7점 이상인 경우 중증군, 6점 이하인 경우 비 중증군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이 연구는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본 연구 대상자의 선정기준은 호흡기질환으로 소아과병동에 입원한 3세 이하 영유아 환아의 어머니이다. 제외기준은 설문지를 이해하지 못하여 설문에 응답에 제약이 있는 경우와 외국인은 설문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자 의 표본크기는 G-Power version 3.1.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16],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한 odds ratio 1.5, 검정력 .80, 유의수준 .05를 하였을 때 필요한 수는 16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참여를 수락하고 자료수집에 응한 대상자는 총 180명이며 응답이 무성의한 7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173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

이환실태

영아기 호흡기질환의 이환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Shin 등[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영유아 과거력 11문항, 환경요인 3문항, 어머니 알레르기 관련요인 5문항, 아버지 알레르기 관련요인 5문항, 형제자매 알레르기 관련요인 2문항의 총 26문항의 명목척도로 구성된 도구이다.

교육요구

이 연구 도구는 Koo [5]가 자녀의 호흡기질환에 대한 부모의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34문항으로 구성된 4점 척도의 도구이다. 전혀 알고 싶지 않다 1점, 알고 싶지 않다 2점, 알고 싶다 3점, 매우 알고 싶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호흡기질환 관리를 위한 부모의 교육요구가 높음을 의미한다.
Koo [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0.98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5이었다.

관리수행정도

영유아 호흡기질환 관리 수행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은 Yi [17]의 자녀 호흡기질환에 대한 관리수행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증상 4문항, 감염예방관리 6문항, 수유관리 2문항, 환경관리 6문항의 4개 범주의 18문항으로 구성된 4점 척도의 도구이다. 전혀 시행안한다 1점, 가끔 시행한다 2점, 자주 시행한다 3점, 항상 시행한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범주의 관리수행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Yi [1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4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7이었다.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시내 I대학 부속병원 소아과 병동에 호흡기 감염성 질환으로 입원한 영유아의 어머니에게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동의를 구한후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여 협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였고 설문지는 주 양육자가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12월 28일부터 2015년 1월 20일까지 였으며,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연구 시작 전 ‘S대학교 생명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SYUIRB2014-101). 연구대상자에게 연구 목적, 자료 비밀보장 및 자료 관리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 뒤 대상자가 연구에 동의한 경우만 설문지를 제공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강요하지 않았으며 대상자에게는 질문지를 배포하여 스스로 응답케 하여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익명으로 처리하였다. 대상자들이 질문지를 응답 하는 데는 평균 10-15분 이내가 소요되었다.

자료분석방법

본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특성은 서술통계,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교육요구,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는 x2, t-test를 사용하였고, 영유아 호흡기 감염의 중증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환 실태 중 중증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증상관련 특성

아동의 연령은 평균 12.3개월이었으며 남녀 비율은 비슷하였다. 출생 시와 생후 1년의 아동의 평균 키와 체중은 발육곡선에서 50백분위 범위에 있었다. 호흡곤란과 흉부 견축증상이 있는 영유아는 각각 35.3%, 37.6%이었다(Table 1).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에서(Table 2) 아동의 알러지와 관련된 요인에서는 신생아기 입원 경험에 따른 호흡기 감염 중증도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신생아기 입원경험이 있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는 56.1%로 신생아기 입원경험이 없는 아동의 43.9%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생아기 입원 이유에 따른 호흡기 감염중증도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004), 신생아기 호흡곤란으로 입원한 경험이 있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는 50.0%로 다른 입원 이유를 가진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유방법에 따른 호흡기 감염중증도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 분유수유를 한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는 56.1%로 혼합수유 36.8%, 모유수유 7.0%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습진 또는 아토피 피부염 여부에 따른 호흡기 감염 증증도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 습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경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속한 아동이 28.1%로 비 중증도군에 속한 10.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내용은 없었으며 가족관련 요인에서 아버지(p=.001)와 형제자매의 알러지 유무(p<.001)에 따른 영유아 호흡기질환 중증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아버지가 알러지가 있는 아동의 경우 영유아 호흡곤란 중증도에 속한 아동이 38.6%로 비 중증군 16.5% 보다 높았고, 형제자매가 알러지가 있는 경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속한 비율이 45.6%로 비 중증군에 속한 비율 9.6% 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부모의 교육요구

호흡기 감염의 정도가 중증도인 아동의 부모들의 교육요구가 비중증군 아동부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t=3.044, p=.003), 총 34문항 중에서 11번 문항(수액을 투여하는 이유와 방법)을 제외하고 중증군에서 비중증군보다 모두 평균점수가 높았다(Table 3).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부모의 관리수행정도

호흡기 감염 영유아 부모의 관리수행정도는 증상, 감염예방, 수유, 환경관리의 네 영역에서 측정되었다(Table 4). 수유영역을 제외하고 세 영역의 모든 항목의 관리수행정도의 평균점수가 중증군이 비중증군에 비해 낮았으며, 관리수행정도 총점 또한 중증군의 평균점수가 비중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t= -2.940, p=.004).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 영향요인

영유아 호흡기 감염 이환실태 요인 중에서 중증도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생아기 입원유무, 형제자매의 알러지 유무가 영유아 호흡기질환 중증도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Table 5).
신생아기 입원경험이 있는 아동은 없는 아동보다 호흡기 감염 중증 발병률이 2.19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형제자매가 알러지가 있는 아동은 없는 아동보다 호흡기 감염 중증 발병률이 4.50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의

본 연구는 영유아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이다. 영유아기 급성질환 중 호흡기질환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며 추후 아동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가 중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호흡기질환 관리에서 간호사는 환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대처해야 하므로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호흡기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영유아기 부모에게 적절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라서 부모의 요구도 파악이 중요하며, 그에 따른 다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결과, 신생아기 입원경험이 있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는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신생아기 호흡곤란으로 입원한 경험이 있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가 다른 입원 이유를 가진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생아기 입원경험 여부와 호흡곤란 증상 여부가 이후 영유아기 호흡기 입원 및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신생아기 입원 시 호흡기계 간호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ong, Song과 Kim[18]의 연구에서 생후 첫 1개월 동안의 영아 사망의 2/3를 차지하는 것은 그만큼 신생아기 시기가 외부환경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취약한 시기임을 나타내며, 영유아기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향후 천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수유방법에 따른 호흡기 감염 중증도 여부는 분유수유를 한 아동의 호흡기 감염 중증도는 모유수유보다 높게 나타났다. Grams은 6개월 동안 모유만 먹고 자란 아동은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아이에 비해 호흡기질환, 설사, 과민반응 등의 질병에 걸리지 않았다고 하였다[19]. 모유는 천연 영양공급 수단으로 풍부한 영양소가 함유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모유 안에 함유된 면역 물질의 효과로 중이염과 같은 호흡기 감염 및 질환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청력 감소의 문제도 적어지고, 장염 등의 감염성 질환을 적게 앓게 된다. 영아기에 가장 흔한 질환인 호흡기 감염의 빈도가 줄어들면 개인과 가족에 긍정적인 측면을 가져올 수 있다[20]. 따라서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에게 신생아기부터 모유수유를 권장을 함으로써 모유수유를 통한 영아의 면역증진을 도모하여 호흡기 감염의 중증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동의 습진이나 아토피 피부염 여부에 따른 호흡기 감염 증증도 여부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습진이나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경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속한 비율이 비 중증도에 해당하는 비율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몇몇 연구들에서 아토피와 알레르기 염증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은 정상인보다 알레르기 환자에서 더 심한 증상을 일으킨다고 하였으며[21] 아토피를 동반한 환아에서 하기도 바이러스 감염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보다 더 심하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22]. 이러한 선행연구 및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호흡기질환 중증도와 아동의 아토피 피부염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가족관련 요인에서 아버지와 형제자매의 알러지가 있는 아동의 경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속한 아동의 비율이 비 중증도에 해당하는 아동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호흡기질환 중증도는 알러지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Shin 등[4]의 연구에서 부모의 흡연력, 모유수유,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 엄마의 알레르기 질환, 아이의 알레르기 질환이 영아 호흡기 감염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엄마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영아 호흡기 감염의 위험도가 두 배 높다고 한 점에서 본 연구와 차이를 보인다[4].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실제로 호흡기질환의 예방에서 환기 및 금연 등 환경관리는 중요하다고 보고되었다[23-25]. 따라서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이 큰 것은 앞으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호흡기 감염의 정도가 중증도인 아동의 부모들의 교육요구가 비중증군 아동부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총 34문항 중에서 11번 문항(수액을 투여하는 이유와 방법)을 제외하고 중증군에서 비중증군보다 모두 평균점수가 높았다. 호흡기 감염이 중증도인 아동의 부모들은 중증도의 증상을 보이므로 진단과 치료의 과정에 교육요구도가 높으며, 증상이 심한 아동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원 후 다시 증상이 발현될 때 관리해야 할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간호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Koo [5]의 연구에서도 소아과병동의 호흡기 감염성 질환아 가족 요구도는 검사 결과, 질병의 예후, 질병의 증상 및 진행 과정, 검사를 하는 이유와 방법, 호흡기 감염의 전파를 막는 방법, 질병의 원인, 퇴원 후 호흡기 감염의 예방의 순으로 교육 요구가 높았던 것과 일치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26]에서도 ‘아기의 치료 경과에 관한 특이사항을 알려주는 것’, ‘아기가 의학적으로 어떤 처치를 받고 있는지 아는 것’과 ‘아기에게 어떤 치료나 검사가 시행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높은 요구로 나타났고 그 외에도 의료적인 처치나 예상되는 상황, 아기 상태 및 전반적인 정보와 더불어 퇴원 계획이나 교육 등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들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기 감염 영유아 부모의 관리수행정도는 증상, 감염예방, 수유, 환경관리의 네 영역에서 측정되었는데, 수유영역을 제외하고 세 영역의 모든 항목의 관리수행정도의 평균점수가 중증군이 비중증군에 비해 낮았으며, 관리수행정도 총점 또한 중증군의 평균점수가 비중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관리수행 정도가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간호사 교육 및 의료진을 통한 호흡기질환 관리수행 연구[27] 결과 소아병동에서 간호사의 손 씻기를 통하여 아동의 호흡기질환이 감소되었으며, Lim, Chung과 Choung [28]의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 환자 및 보호자에게 천식에 대한 교육자료 제공 후 응급실 방문 횟수, 총 입원 횟수, 총 외래 방문 횟수,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 횟수 및 용량이 감소하였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Yi [17]의 연구에서 영아 호흡기질환 관리교육을 받은 어머니는 교육을 받지 않은 어머니보다 호흡기질환 증상관리 수행정도, 감염예방관리 수행정도, 수유관리 수행정도, 환경관리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Kwon과 Seo [29]의 연구에서 돌봄 제공자의 감염 예방에 대한 지식과 수행의 정도는 입원 아동의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인 전략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관리수행정도 향상을 위해 교육을 통한 대상자의 행위 변화를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동기 유발이 필요한데, 대상자의 동기 유발과 요구를 확인하여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유아의 호흡기 감염 이환실태 변인 중에서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신생아기 입원경험 여부, 형제자매의 알러지 유무가 유의한 영향변수로 확인되어,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에 발표된 호흡기 감염에 대한 논문 중 호흡기 감염의 중증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영유아 호흡기 감염에 있어 중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환 실태, 관리수행정도 및 교육요구와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를 구분하는 진단적 기준은 병력, 증상(발열, 기침의 형태, 호흡곤란의 형태 등), 진찰 소견, 임상검사 및 영상의학검사 등이 있다[14].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감염으로 진단된 영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체검진 소견과 부모의 관찰로도 문진이 가능한 호흡곤란과 견축증상을 토대로 중증도를 구분하였다. 호흡기질환 아동 부모의 건강추구행위를 조사한 연구[30]에서도 대상자의 중증도 분류기준으로 기침, 호흡곤란, 호흡수, 견축증상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청진소견, 발열 상태가 추가된 진단기준을 적용함으로 영유아 호흡기질환 중증도 이환실태 및 중증도 영향요인에 대한 반복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부모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호흡기 감염이 있는 영유아기 아동을 돌볼 때 신생아기 입원경험 여부와 형제자매의 알러지 유무, 부모의 교육요구, 관리수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영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관리수행을 향상시키고, 교육 요구도와 호흡기 감염 중증도를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Kim CK, Koh YY, Callaway Z. The validity of induced sputum and bronchoalveolar lavage in childhood asthma. The Journal of Asthma. 2009;46(2):105-112.
crossref pmid
2. Michelow IC, Olsen K, Lozano J, Rollins NK, Duffy LB, Ziegler T,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s. 2004;113(4):701-707.
crossref pmid
3. Miedema CJ, Kors AW, Ten WETA, Kimpen JLL. Medical consumption and socioeconomic effects of infecti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the Netherland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001;20(2):160-163.
crossref pmid
4. Shin SW, Kim EY, Rho YI, Yang ES, Moon KR, Park SK, et al. A prevalence of respiratory infec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infa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6;31(3):35-41.

5. Koo HY.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ies with respiratory infected children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3):281-290.

6. Park MK, Ko YS, Park KI.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for child guardians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fter H1N1 diffusion (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1):1-9.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1.1
crossref
7. Kim HJ, Kim JH, Kang IJ. Association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and atopy with severity of acute bronchiolitis in infants. Pediatric Allergy Respiratory Disease. 2011;21(4):302-312.
crossref
8. Nascimento LFC, Marcitelli R, Agostinho FS, Gimenes CS. Hierarchical approach to determining risk factors for pneumonia in children. Jornal Brasileiro de Pneumologia. 2004;30(5):445-451.
crossref
9. Damore D, Mansbach JM, Clark S, Ramundo M, Camargo Jr CA. Prospective multicenter bronchiolitis study: Predicting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8;15(10):887-894.
crossref pmid
10. Fisher HR. The needs of parents with chronically sick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6(4):600-607.
crossref pmid
11. Principi N, Esposito S. Pediatric influenza prevention and control.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4;10(4):574-580.
crossref pmid pmc
12. Kim IO. A study on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respiratory 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measurement of it’s effec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66-79.

13. Lee SY, Choi MH, Kwon HJ.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aising knowledge and satisfaction with out-patient care of mothers with Ill-child.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7;3(1):83-98.

14. Ahn HS. The pediatrics. Seoul: Daehane Co; 2007. p. 629-630.

15. Kim HS, Kang KA, Kim SJ, Kim HO, Moon SY, Park SN, et al..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2013. p. 17-19.

1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crossref pmid
17. Yi MY. Effects of the educational session of infant respiratory disease management of mother’s performance level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p. 50-59.

18. Song WS, Song BJ, Kim W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full-term newborns without risk factors. Neonatal Medicine. 2015;22(1):27-33. http://dx.doi.org/10.5385/nm.2015.22.1.27
crossref
19. Grams K. Breast-feeding a means of imparting immunity.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1978;3(6):340-344.
crossref pmid
20. Breast feeding Advantages [Internet].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cited March, 13].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leading_initiatives/breast_feeding_adv.php

21. Xepapadaki P, Papadopoulos NG. Viral infections and allergies. Immunobiology. 2007;212(6):453-459.
crossref pmid
22. Kwon J, Seo J, Yu J, Kim B, Kim HB, Lee SY,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allergen sensitization in children of Songpa area, Seoul.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11;21(1):47-55.
crossref
23. Gilliland FD, Li Y, Dubeau L, Berhane K, Avol E, McConnell R, et al. Effect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1,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asthma and wheezing i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166(4):457-463. http://dx.doi.org/10.1164/rccm.2112064
crossref pmid
24. Jung HJ, Baek SH, Seo WH, Kim JH.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ozone concentration and respiratory diseases in Daejeon city.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Environment Management. 2001;7(1):107-116.

25. Jurado D, Muñoz C, de Dios Luna J, Muñoz-Hoyos A. Is maternal smoking more determinant than paternal smoking on the respiratory symptoms of young children. Respiratory Medicine. 2005;99(9):1138-1144.
crossref pmid
26. Park JS, Bang KS. Nursing needs of the parents of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2):136-144. http://dx.doi.org/10.14370/jewnr.2014.20.2.136
crossref
27. Isasscs D, Dickson H, O’Callaghan C, Sheaves R, Winter A, Moxon ER. Handwashing and cohorting in prevention of hospital acquired infection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1;66(2):227-231.
crossref pmid pmc
28. Lim JY, Chung SM, Choung JT. The role of patient and parents education in the management of pediatric asthm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2000;10(1):51-60.

29. Kwon IS, Seo YM. Knowledge and practice on infection prevention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0;13(2):102-109.

30. Kamaruzaman NA, Muthupalaniappenm L, Pasi H. Health care seeking behaviour among caregivers of children with pneumonia in a rural area.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2013;20(4):413-416.

Table 1.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Mother (N=173)
Characteristics n (%) or Mean±SD
Age (month) 12.31±6.26
Gender Female 85 (49.1)
Male 88 (50.9)
Weight (kg) At birth 3.26±2.15
At present 9.56±2.40
Height (cm) At birth 50.28±3.85
At present 74.27±11.21
Severity index of respiratory infection
 Cough No 12 (6.9)
Yes 161 (93.1)
Respiratory rate (minutes) 34.16±6.53
 Dyspnea No 112 (64.7)
Yes 61 (35.3)
 Chest retraction No 108 (62.4)
Yes 65 (37.6)
Table 2.
Differences in a Prevalence of Respiratory Infection by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N=173)
Characteristics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𝑥2 p
Non-severe (D & CR) (n=116)
Severe (D & CR) (n=57)
n (%) n (%)
Allergy history of child
 Neonatal admission No 86 (73.9) 25 (43.9) 14.932 <.001
Yes 30 (26.1) 32 (56.1)
 Reason of admission during neonatal period Jaundice 15 (50.0) 3 (9.4) 13.298 .004
Others 4 (13.3) 5 (15.6)
Prematurity 5 (16.7) 8 (25.0)
Dyspnea 6 (20.0) 16 (50.0)
 Feeding method Breast milk feeding 16 (13.9) 4 (7.0) 11.525 .003
Mixed feeding 66 (56.5) 21 (36.8)
Cow milk feeding 34 (29.6) 32 (56.1)
 Admission with RI during infancy No 39 (33.0) 13 (22.8) 1.914 .166
Yes 77 (67.0) 44 (77.2)
 Eczema or atopic dermatitis No 104 (89.6) 41 (71.9) 8.697 .003
Yes 12 (10.4) 16 (28.1)
Environmental factor
 Shared bedroom No, alone 9 (7.8) 2 (3.5) 2.586 .274
With siblings 17 (14.8) 13 (22.8)
With parents 90 (77.4) 42 (73.7)
 Parental smoking No 90 (77.4) 38 (66.7) 2.269 .132
Yes 26 (22.6) 19 (33.3)
Family related factor
 Allergic disease in mother No 67 (57.4) 25 (43.9) 2.801 .094
Yes 49 (42.6) 32 (56.1)
 Allergic disease in father No 97 (83.5) 35 (61.4) 10.229 .001
Yes 19 (16.5) 22 (38.6)
 Allergic disease in sibling No 105 (90.4) 31 (54.4) 29.332 <.001
Yes 11 (9.6) 26 (45.6)

D=Dyspnea; CR=Chest retraction; RI=Respiratory infection.

Table 3.
Differences in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Educational Needs by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N=173)
Items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t p
Non-severe (D&CR) (n = 116)
Severe (D&CR) (n = 57)
Mean±SD Mean±SD
1 Diagnosis 3.62±.48 3.80±.39 2.682 .008
2 Cause of the disease (etiology) 3.65±.47 3.84±.36 2.838 .005
3 Symptoms of the disease (symptom) 3.63±.50 3.85±.35 3.376 .001
4 Prognosis of the disease (prognosis) 3.67±.52 3.85±.35 2.785 .006
5 Complications of the disease (complication) 3.68±.52 3.87±.33 3.005 .003
6 Reason and method of the examination 3.68±.46 3.82±.42 1.894 .061
7 Result of the examination 3.72±.44 3.85±.35 2.172 .032
8 Treatment method and process 3.72±.44 3.80±.39 1.184 .238
9 Position forf easy breathing 3.59±.52 3.73±.48 1.711 .089
10 Reason and method to increase humidity 3.57±.49 3.70±.46 1.583 .115
11 Reason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fluid 3.62±.48 3.61±.52 -.189 .850
12 Reason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medicine 3.62±.51 3.66±.51 .449 .654
13 Action and effect of administered medicine 3.66±.47 3.70±.46 .504 .615
14 Reason and method of taking temperature, pulse and respiration 3.60±.50 3.63±.55 .322 .748
15 Method to measure intake and output 3.47±.55 3.50±.65 .343 .733
16 Rest and sleep 3.50±.53 3.56±.56 .586 .559
17 Amount of activity allowed 3.41±.51 3.68±.53 3.150 .002
18 Fluid and diet 3.58±.52 3.75±.47 2.111 .037
19 Breast feeding or as an addition to meaal 3.56±.53 3.77±.46 2.577 .011
20 Personal hygiene care (washing face, brushing teeth, taking bath, washing hair) 3.52±.55 3.68±.50 1.824 .070
21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n 3.55±.49 3.78±.41 3.323 .001
22 Importance of hand washing 3.54±.51 3.73±.44 2.550 .012
23 Method for decreasing fever 3.72±.44 3.89±.30 2.918 .004
24 Emotions that patients feel during hospitalization 3.62±.50 3.75±.47 1.567 .119
25 Method of helping patients to adjust to hospital life 3.56±.53 3.61±.59 .505 .614
26 General hospital rules 2.81±.84 2.85±.89 .293 .770
27 Hospital structure and the use of it’s facilities 2.83±.80 2.91±.96 .547 .585
28 Hospitalization fees and other fees 3.51±.58 3.73±.48 2.623 .010
29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3.56±.49 3.84±.36 4.069 <.001
30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one has to come back to hospital after being discharged 3.60±.49 3.80±.44 2.748 .007
31 Outpatient treatment method after being discharged 3.57±.51 3.77±.42 2.641 .009
32 Methods of taking medicine after discharge (amount, time, rules to keep) 3.54±.53 3.82±.38 3.964 <.001
33 Method to increase humidity at home after the discharge 3.55±.53 3.75±.47 2.536 .012
34 Method to decrease fever at home after the discharge 3.62±.51 3.87±.33 3.801 <.001
Total 3.55±.31 3.70±.29 3.044 .003

D=Dyspnea; CR=Chest retraction.

Table 4.
Differences in Respiratory Inf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by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N=173)
Items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t p
Non-severe (D&CR) (n = 116)
Severe (D&CR) (n = 57)
Mean±SD Mean±SD
Symptom
 1. Apply chest percussion to aid in getting out sputum 2.35±.63 2.24±.57 -1.081 .281
 2. Apply postural drainage to get out sputum 2.23±.70 2.10±.55 -1.197 .233
 3. Ingest enough water to prevent dehydration and make sputum more watery 2.61±.69 2.57±.56 -0.312 .755
 4. Diligently take prescribed medicine 3.25±.79 3.22±.68 -0.249 .804
Infection prevention
 1. Wash hands before having contact with the children. 2.81±.62 2.71±.55 -1.018 .31
 2. Immediately wash the child’s hand after coming in from an outdoor activity 3.03±.55 2.75±.50 -3.29 .001
 3. Wash hands with soap for more than 15 seconds 2.62±.69 2.24±.50 -4.019 <.001
 4. Wash hands after touching children’s bodily secretions 2.93±.63 2.75±.60 -1.828 .069
 5. Do not let child make contact with a family member that has a respiratory disease 2.80±.60 2.50±.63 -2.908 .004
 6. If infected with a respiratory disease, use separate utilities (towel, cup, etc.) to prevent contagion 2.82±.63 2.45±.68 -3.437 .001
Feeding
 1. Hold the child in the arms while breast feeding 3.45±.67 3.61±.55 1.515 .132
 2. Make the child belch after breast feeding 3.51±.70 3.68±.46 1.622 .107
 feeding
Environment
 1. Clean the dust everyday with a mop or a vacuum 2.81±.64 2.68±.68 -1.271 .206
 2. Wash the child’s bedding often (at least once per week) 2.50±.81 2.31±.63 -1.494 .137
 3. Open the windows everyday to ventilate and make the house air clean 2.94±.61 2.52±.62 -4.171 <.001
 4. Maintain a moderate indo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weather 3.01±.60 2.73±.55 -3.043 .003
 5. Make sure the child wears a mask when he or she goes out during the change of seasons 2.89±.70 2.73±.55 -1.427 .155
 6. Use humidifier or hand wet laundries to regulate house humidity 3.04±.63 2.78±.64 -2.434 .017
Total 2.87±.35 2.70±.35 -2.94 .004

D=Dyspnea; CR=Chest retraction.

Table 5.
Factors Related to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 in Infants and Toddlers (N=173)
Variables Categories B SE Wald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onstant -1.578 0.261 36.505 0.206
Neonatal admission No 1
Yes 0.785 0.380 4.261 2.192* 1.040-4.617
Allergy in father No 1
Yes 0.607 0.426 2.025 1.834 0.795-4.229
Allergy in sibling No 1
Yes 1.505 0.468 10.346 4.504* 1.800-11.269
Model fit 𝑥2=35.743, p<.001
Hosmer & Lemeshow's 𝑥2=2.506, p=.644

* p<.05.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0
Scopus
11,805
View
311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