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rticle information

Child Health Nurs Res. 2019;25(4):435-44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9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4094/chnr.2019.25.4.435
1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Nursing, Clemson University, South Carolina, USA
2MSN, Graduate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North Carolina, USA
3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ahmyook Universty, Seoul, Korea
4Professor, School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신혜원1, 이정민2, 강경아3, 김신정,4orcid_icon
1클렘슨 간호대학교 조교수
2노스캐롤라이나 간호대학교 박사과정생
3삼육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4한림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학연구소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hin-Jeong Kim https://orcid.org/0000-0003-2582-3436 School of Nursing, Hallym University 1, Hallymdaehak-gil, Chuncheon 24252, Korea TEL +82-33-248-2721 FAX +82-33-248-2734 E-MAIL ksj@hallym.ac.kr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의 재원으로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HRF 201903-012).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of Hallym University (HRF 201903-012).
Received 2019 March 14; Revised 2019 April 6; Accepted 2019 April 18.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review methods were used and Gough's weight of evidence was employed as a quality appraisal tool.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were identified through electronic search engines and scholarly web sites using three keywords: "elementary school student", "sexual abuse", and "prevention education".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8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Results

Twelve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appraised as being high-quality. Among the 12 selected studies, seven were descriptive, while five were intervention studies.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perception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deficiencies were found in the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utilization of experts, and standardization of the content of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Conclusion

We ne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content should draw upon the current sexual education program administered to this population. Furthermore, parents and trained teachers or school health teachers should be included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은 국내 ․ 외에서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현재 국내에서는 아동 성폭력의 발생 억제를 위한 법적 규제 강화 등 사회와 국가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성추행에서부터 강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성폭력이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있다[2]. 국내에서 발생한 13세 미만의 성폭력 피해 아동 중 초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77.5%에서 2010년 85.9%, 2015년에는 89.0%로[3,4], 이는 10년 전에 비해 약 11% 증가한 수치이다.

아동기의 성폭력은 이후의 발달 과정에서 다양한 행동 문제나 적응의 어려움 등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1], 더욱이 초등학교 시기에 경험한 성폭력 피해는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그 후유증과 상처가 지속되어 신체적 건강은 물론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 전체를 파괴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중요성과 심각성을 짐작할 수 있다[5-7]. 따라서 아동 성폭력의 문제는 발생 후의 처리보다 예방이 필수적이며, 아동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과 함께 초등학교 때부터 올바른 성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5,7,8].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은 점차 지능적이며, 흉포화 되고, 낮은 연령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아동 대상 성폭력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해당되는 만 7세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4].

학령기는 근면성이 발달되고 학습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시기로 다른 발달 연령에 비해 성폭력 예방 교육 효과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는데[6], 이 시기는 바른 성 정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기간으로 효과적인 성교육은 학생에게 올바른 성 지식과 긍정적인 성 태도를 길러주고,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성폭력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우리나라 아동에게 사춘기의 시작은 과거의 13~14세에서 10~11세로 앞당겨져 2차 성징에 대한 신체, 생리적 변화가 과거에 비해 일찍 나타나서[9], 이 시기에 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성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된다[2,10].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폭력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누구에게나 발생 가능하지만 실제로 아동은 성폭력 위험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지나 예방을 위한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따라서 아동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 Lee 등[6]도 아동이 성폭력의 위험에서 벗어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폭력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실제로 성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했을 때 초등학생에서 성폭력 관련 지식이 증가하는 효과가 가장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11],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 자기보호행위(self-protective behavior)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11,12].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초등학생도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3].

미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로 아동의 성폭력 예방 교육이 실행되어 왔으며[14], 교사, 정신과 전문가, 성폭력 관련 연구자, 경찰, 자원봉사자 등을 포함한 다학제간 팀에 의해서 예방 교육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교의 경우, 연간 10시간의 의무교육이 지정되어 있다[15]. 그러나 아동 성폭력의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폭력 예방 교육은 성교육의 부분으로만 여겨지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1,2]. 따라서 아동 대상의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 성폭력을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통합적 문헌고찰은 연구 문제 혹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문헌고찰 연구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6].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할 경우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추후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관련 국내 ․ 외 연구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 외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는 Whittemore과 Knafl [16]이 제시한 지침에 따라 연구 문제의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자료 평가, 자료 분석 및 의미 해석, 자료 통합을 통한 속성 도출의 5단계로 시행하였으며, 각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해서는 Gough [17]의 근거 가중치(weight of evidence, WOE)를 이용하였다.

1) 연구 문제의 명료화

Whittemore과 Knafl [16]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의 제 1단계는 고찰하고자 하는 현상과 연구의 목적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은 어떠한가?”로 연구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2) 문헌 검색 및 선정

제 2단계는 문헌검색 과정으로,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문헌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그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다[16]. 연구 미팅을 통해 본 연구자 4인의 조정과정을 거친 후 수정 ․ 보완하여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으로 최종분석의 준거를 마련하였는데, 구체적인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에 포함된 논문의 선정기준은 1) 심사(peer-review)를 거쳐 국제학술지 혹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 3)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 4)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논문이다. 문헌고찰에서 제외 기준은 석ㆍ박사 학위논문, 편집자 편지, 학술대회 발표 논문 등이었다.

문헌검색 및 분석은 2018년 6월 1일부터 12월 1일까지 시행되었다. 검색논문의 출판년도는 국가차원에서 초등학생 대상 성교육을 학교 의무교육으로 실시한 2000년 1월부터 본 연구 시점인 2018년 6월까지로 출판기간을 제한하여 국내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저널 및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국내의 경우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Nanet), 한국의학논문데이타베이스(KMbase)에서 이루어졌다. 논문 검색에 사용된 주요 핵심 단어는 ‘성폭력’, ‘초등학생’, ‘초등학교’, ‘성교육’, ‘예방 교육’으로 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CINAHL, PubMED, PsycINFO의 세 개의 검색엔진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핵심 단어는 ‘elementary school student or primary school student’, ‘sexual abuse or violence’와 ‘prevention’ 그리고 ‘educa*’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검색 결과에서는 CINAHL, PubMED, Psyc INFO에서 총 2,049편이 검색되었고 국내 검색 자료에서는 129편이 검색되었다. 총 2,178편에서 중복된 167편을 제외하고 2,011편에서 각 논문의 제목 및 초록을 읽고 본 연구의 포함기준과 일치되지 않는 1,976편을 제외하였다. 이를 통해 확보된 논문 35편의 초록과 본문 내용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포함기준과 일치되지 않는 23편을 제외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12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 논문으로 확정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위해 선택된 보고시스템(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18] 도표를 이용하여 논문 검색 과정을 제시하였다(Figure 1).

Figure 1.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flow diagram of the articles retrieved and selection process.

3) 자료의 평가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해서는 연구의 선정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객관적으로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16] 따라서 연구자는 Whittemore과 Knafl [16]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저자(출판 연도 포함), 연구 설계, 독립 및 종속변수, 성폭력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 연구 결과, 간호중재 등으로 분류하여 코딩을 실시하였다. 또한 Gough [17]의 근거 가중치(WOE)를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맞게 연구 목적, 연구 디자인, 대상자 선정 및 근거 등이 적합하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WOE는 제시된 연구 질문에 대한 적절성을 알기 위해 네 단계로 나누어 평가하며, 분석 기준은 상(high), 중(medium), 하(low)의 세 등급을 사용한다. WOE a는 연구자의 개념을 사용하여 근거의 일치성과 통합성을 보여주는 대체적인 판단으로 연구의 문맥(연구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적절한 설명,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선행 문헌고찰이 충분히 제시되어 있는지)과 근거(연구자의 주장의 신뢰성, 결과를 뒷받침할 충분한 자료 제시 여부)에 초점을 두었다. WOE b는 연구 목적에 적절한 연구 설계를 선택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WOE c는 연구 질문에 따른 자료 수집 혹은 연구 분석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데, 표본 추출, 자료 수집 과정, 자료 분석(결과에 대한 적절한 설명, 연구자 주장의 신뢰성)의 항목을 가지고 평가하였다. 또한 WOE d는 WOE a, b, c에 근거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인데, 앞에서 평가한 WOE a, b, c의 항목 중에서 “상”으로 평가가 된 항목이 2가지 이상이면 “상”등급, “중”이 2가지 항목 이상이면 “중”등급으로 분류하였다. Gough [17]의 연구에서는 각 평가 기준의 점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Gough의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연구[19]에서 사용한 점수기준을 참고하였다.

4) 자료 분석 및 의미 해석

모든 연구자는 각자 논문을 읽고 분석하면서, 본 논문의 연구 문제에 맞게(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요구도, 만족도, 프로그램 실태조사, 효과, 추후 성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 논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문서로 만들고 토의할 부분에 대해 메모를 남겨두었다. 본 연구의 경우 참여저자가 서로 다른 국가에 거주하고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2주에 한 번씩 약 2시간, 총 4회의 온라인 화상 미팅을 통해 토론하고 공통적인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회의 이외에도 전자메일이나 전화 등을 이용하여 연구자 간에 심도 깊은 의사소통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5) 자료통합을 통한 속성 도출

Whittemore과 Knafl [16]에 의하면 통합적 문헌고찰의 결론은 표 또는 그림의 형태로 나타날 때 연구의 결론을 지지하고 논리적인 흐름을 보여주는데, 이는 각 연구 간의 비교와 대조과정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된 연구 논문 리스트를 만들고 도출된 주요 개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Table 1).

Summary of Studies Included in the Integrative Review (N=12)

3. 수행 절차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계획서를 H대학교의 연구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 제출한 후 심의면제 결의를 받아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 분석에 포함된 논문의 특성

국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연구 총 12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3~6학년 대상 7편(58.3%), 초등학교 저학년 2편(16.8%), 전 학년 대상 또는 교사를 포함한 고학년 대상이 각각 1편(8.3%, 8.3%)이었으며, 2000~2010년 5편(41.7%), 2011~2015년 3편(25.0%), 2016~2018년 6월까지 4편(33.3%)이 발표되었다. 발표된 논문의 학문분야는 간호학이 5편(41.7%)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동복지와 교육학이 각 3편(25.0%, 25.0%), 기타 1편(8.3%)이었고, 적용된 연구 설계는 서술적 연구 7편(58.3%),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3편(25.0%), 단일그룹 설계 2편(16.7%)이었다. 표본크기는 10명에서 611명으로 다양했으며, 윤리적 고려가 명시된 논문은 7편(58.3%), 언급되지 않은 논문이 5편(41.7%)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N=12)

2. 연구의 질 평가

두 명의 연구자가 각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 156항목 중 23항목이 일치 하지 않아(85.3%), 논의 후 10항목을 조정하였다(91.6% 일치율). 또한 조정 후 연구자 간 다시 한 번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질 평가 결과, 선택된 논문은 모두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최종적으로 12편의 연구를 분석에 포함하였다(Table 3). 총 12편의 논문에서 연구의 문맥과 근거를 평가하는 WOE a 항목, 연구 목적에 적합한 연구 설계 측정항목 WOE b, 종합적 판단 측정항목인 WOE d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연구 목적에 근거한 자료 분석의 적합도 영역을 평가하는 WOE c 항목에서는 1편의 연구가 연구 목적과 자료 분석의 적절성에서 ‘중’으로 평가되었다.

List of Reviewed Articles on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N=12)

3. 연구 분석

12편의 연구에 대해 목적, 결과 변수, 주요 결과 및 활용 의의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1) 서술적 연구

7편의 서술적 조사연구 결과에서는 성폭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성폭력 예방을 위한 행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성, 성 지식과 성폭력에 대한 오해 사이에 부적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 교육 요구도는 높았으며 특히 비디오, 놀이, 게임, 가상현실 경험 등의 교육 방법을 희망하였다. 1편의 연구결과에서는 교사를 위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자재가 확장될 필요가 있고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연령, 성별, 교사 근무년 수,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의 유무가 확인되었다.

2) 중재 연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폭력 예방 교육을 제공한 5편의 연구에 대해 중재 유형 및 시간, 중재효과, 결과 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Major Content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5)

(1) 중재 유형 및 시간

중재 유형은 그룹 대상 3편(60.0%), E-learning 기반 교육 2편(40.0%)의 순이었으며, 중재를 제공한 사람은 학교의 보건교사가 4편, 연구 보조원이 1명으로 나타났다. 중재기간은 1~8주까지로 다양하였으며, 중재빈도는 6회 2편(40.0%), 8회 2편(40.0%), 10회 1편(20.0%)이었고, 1주에 6회, 2주에 10회, 3주에 8회, 6주에 6회, 8주에 8회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1회를 기준으로 한 중재 시간은 5~50분까지이었으며, 40분이 3편(60.0%)으로 가장 많았다. 대조군의 경우, 4편(80.0%)의 연구에서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1편(20%)의 연구에서만 교과서 중심의 기본교육을 제공하였다.

(2)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한 결과 변수 및 중재 효과

결과 변수는 성폭력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측정한 연구가 3편(60.0%), 성폭력 자기보호행위 또는 기술을 측정한 연구가 2편(40.0%), 성폭력에 대한 태도 1편(20.0%) 등이었다.

단일그룹에 적용한 연구 2편을 제외한 3편의 유사실험연구의 측정 변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는데, 효과크기(작은 효과크기 .50 이하, 중간효과크기 .50~.80, 큰 효과크기 .80 이상)는 effect size calculator (Social Science Statistics)를 사용하여 Cohen’s d 값을 계산하였다. 성 지식과 성 태도를 측정한 1편의 연구에서는 논문에 사전-사후 평균 차이 값과 t값은 제시되었으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값이 보고되어 있지 않아 효과크기(d)를 산출할 수 없었다. 다른 1편의 연구에서는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성폭력 예방을 위한 자기보호 기술을 측정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1편의 연구에서 성폭력 예방에 대한 지식을 측정한 결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기보호 기술의 교육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3) 중재 내용

5편의 실험 논문에서 확인된 성폭력 예방 교육의 목적은 성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식을 갖추도록 돕고 자신 스스로 성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갖추게 하여 초등학생의 안전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중재 내용 및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강의, 과제, 개방형 질문을 적용한 수업, 그룹 활동, 역할극 등의 다양한 교육 방법이 사용되었다.

논 의

본 연구에서 선택한 12편의 연구 중 저학년(3편, 25%)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고학년(9편 75%)에 비해 매우 저조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 대상의 성폭력은 어린 연령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초등학교 저학년도 포함하여 성폭력의 위험에 대처하도록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에서 실시한 두 개의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를 살펴보면, 아동의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인 1~3학년을 포함하고 있었다[12]. 아동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방어 능력이 없어 상대적으로 성폭력의 피해자가 되기 쉽지만, 아동 성폭력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거나 개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가족 구조의 변화로 인한 자녀 지도 감독의 소홀과 유해한 환경에 무방비하게 노출되고, 또한 인터넷 사용의 확산으로 이를 이용하는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면서 초등학생도 쉽게 성 관련 정보에 접근하게 됨에 따라 성폭력의 표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8].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려는 7편의 연구에서 기술되어 있었으나 2010년 이전 논문 등과 간호학 이외의 다른 학문분야에서 발표된 5편의 연구에서는 연구 윤리위원회 승인 여부, 연구에 대한 설명 및 동의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미성년자인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가 명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12개 논문에 대한 질 평가에서 한 영역에서 ‘중’ 등급을 받은 1개 연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전체평가가 ‘상’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 방법에 대한 평가 결과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실험연구 수가 소수에 불과하여 결과 변수의 효과크기에 대한 확인에 제한이 있었다. 실험설계를 적용한 연구 결과는 보다 과학적 근거와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한 1편의 연구에서만 통계수치(평균값,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자기보호행위변수에서 중등도 이상의 효과크기(.62)를 보였다[9]. 그러나 1편의 연구만으로는 교육을 실시했을 때 프로그램의 효과가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12 편의 연구 중 5편의 실험연구에서, 일부 연구에서 통계수치를 불충분하게 제시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 실험연구 결과를 제시할 때는 이러한 통계 수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다. 추후 연구를 통해 성폭력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적용되고 이에 대한 효과크기 검증은 초등학생에게서 성폭력 예방 교육의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 90% 이상의 초등학생과 교사가 성폭력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Kim과 Kang [2]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정도는 22점 만점에 7.33점에 그쳐 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3%의 초등학생만이 현재 성폭력 예방 교육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제공된 교육이 초등학생의 필요성과 요구도에 충분히 부합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성폭력 예방 교육에 대한 효과는 남학생과 고학년에서 그 효과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20].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아동 성폭력에 해당되는 범주는 아동이 성적 활동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성적 활동에 대해 발달적으로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동의를 스스로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가해자의 행위가 사회에서 금기시 되거나 법에 위반될 때이다[21]. 초등학생의 성폭력 인식 및 경험을 파악한 질적연구에서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성폭력은 강제적 접촉, 괴롭힘, 학교폭력, 음란물, 불쾌한 성적행동, 범죄 등으로 나타났다[5]. 그러므로 아동에게 성폭력에 해당되는 내용을 명확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초등학생은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 방법으로 성교육, 위험회피, 자기주장, 처벌의 강화, 도움 요청과 알림, 신고, 치료와 상담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아동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현재 지식 정도나 요구도 등에 대해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성별 혹은 연령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한 연구 중 아동의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파악하고[5], 이를 바탕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2,3]도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대상자의 요구도를 기초로 한다면 통일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고, 대상자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가 산출되어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결과, 아동 성폭력 예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은 가정과 학교에서 아동을 직접 돌보는 부모와 교사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부모와 교사는 자녀를 성폭력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일차적인 책임이 있고, 아동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자녀에게 성폭력 예방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10]. 우리나라에서 27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은 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도움을 청하고 싶은 사람으로 남학생의 53%, 여학생의 76%가 어머니를 제시하였다. 아버지는 두 번째(27%)로 도움을 받고 싶은 대상으로 제시되었지만, 실제로 아버지와 성에 대해 거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0]. 그러나 성폭력 예방에서 부모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므로[11] 부모 대상의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외국에서도 교사 혹은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는 추세이다[22]. 부모는 성폭력 위험에 대해 자녀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심리적으로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가정, 학교 등 아동 주변 환경의 잠재적 성 범죄자로부터 아동을 안전하게 지키거나 보호해줄 수 있다. 실제로 아동에게 안전한 환경의 제공은 아동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3].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부모가 아동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며[10], 초등학교에서는 부모에게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부모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기 때문에 아동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다[10]. 부모가 아동 성폭력과 그 예방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아동 교육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직접 교육이나 개별적인 상담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학생에게 성교육을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한국의 초등학교에서는 현실적으로 교내의 보건교사가 주축이 되어 이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각 교과목에서는 성교육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건교사나 일반교사가 보고한 성폭력 예방교육의 가장 큰 방해요인은 이와 관련된 교육 자료의 부족, 담당교사의 불협조, 보건 교사의 전문 지식의 부족으로 나타났다[13]. 이에 대해 Yoon [24]은 일반교사에게도 성희롱, 성폭력 예방 교육 연수 기회를 의무화하고 관련 교과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의 보급과 연구가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 예방 교육 내용을 계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효과적인 교재 및 교수법과 관련된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12편의 연구에서 성폭력 예방 교육의 주제는 ‘남녀 신체구조’, ‘생식기 위생’ 같은 신체적 발달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특히 저학년에게는 성폭력에 관한 내용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성폭력 예방 지식과 관련하여 미국 학교의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공통된 주제를 살펴보면 ‘성폭력의 범위’, ‘몸의 소유권’, ‘보살핌 행동(grooming behaviors)’, ‘안전한 또는 위험한 상황 파악’, ‘싫다고 말하고 자기 주도성 갖기’, ‘혼자 비밀을 간직하지 않고 어른에게 말하기’, ‘접촉의 종류’ 등이 있었다[12]. 향후 국내에서도 포괄적이면서 표준화된 초등학생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7편의 서술적 조사연구 결과에서는 성폭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예방 행위 간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성 지식과 성폭력에 대한 오해 사이에 부정적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성폭력 인식과 예방 행위를 돕는 구조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학교 중심의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성폭력에 대한 지식 증가가 자기방어 행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25]. 또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아동은 위험 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10], 실제로 성폭력에 대한 예방 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아동일수록 성폭력과 관련된 피해 경험을 더 적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11].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이 대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기보호능력을 증진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선택된 5편의 실험연구 중 4편(80%)의 연구에서 보건교사가 성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고무적이라고 생각된다. Kim 등[3]의 연구에서도 교육 제공자가 의료 전문가인 경우, 프로그램 시행 후 학생의 지식과 태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에서 간호사 면허를 소지한 보건교사가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2]. 미국에서 통합적 고찰을 실시한 연구를 살펴보면, 학교에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사람은 학교 간호사가 아닌 일반교사, 관련 전문가, 자원봉사자, 경찰 등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건교사에 해당되는 미국의 학교 간호사는 건강 증진과 교육에 전문가이며, 아동의 발달단계, 성행동, 그리고 지역사회 건강에 통합적 지식이 있고, 간호과정을 아동, 학교,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게 적용하여 아동의 건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진 인력으로 향후 관련 성폭력 예방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12].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보건교사를 활용한 성폭력 예방 교육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기간은 1~8주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성과 관련된 가치관이나 태도는 1~2주 동안의 단기 교육으로는 형성될 수 없으므로[24], 장기간의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교육회기는 4~10회로 나타났는 데, 이는 적절하다고 평가되며 추후에도 지속적인 성교육을 통해 성폭력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초등학생이라는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의 기간이나 횟수, 내용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성폭력 예방 교육에서 교수 방법과 매체의 중요성이 보고되었는데[26],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 2편의 실험연구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 만화(애니메이션), 상황극, 퀴즈 등을 이용하였고[1,3], 그 외는 대부분 교과서 중심의 강의가 주된 교육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강의로만 이루어진 성폭력 예방 교육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고[10], 웹 교육을 받은 그룹이 대조군보다 학습자의 주의를 끌고, 성폭력 인식과 대처기술에 대한 점수, 자신감, 교육 방법에 대한 만족감이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1] 교수 방법과 매체의 활용이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된다. 미국의 경우 영화, 연극, 토론, 역할극 등 다양한 방법을 성폭력 예방 교육으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 성폭력 예방 지식 증가, 자기보호 효과, 성폭력 경험과 관련된 비밀 간직하지 않기 등의 결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국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고학년의 경우 80% 이상의 학생이 교사의 강의를 통해 교육을 받았고, 저학년은 매체(51%), 강의(46%), 동화나 인형극(40%) 등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성폭력 예방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은 시대와 사회 요구에 따라 변화하므로 초등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이러한 자료를 보급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3]. 이렇게 개발된 자료는 교육뿐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교사나 보건교사가 상담이나 정보를 제공할 때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최근 모바일을 이용한 교육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반복 교육이 가능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1,27]. 모바일 앱 등을 이용한 교육은 아동과 부모에게 동시에 제공될 수 있고,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까지 교육이 연장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 유용할 수 있다고 고려된다. 본 연구 결과 선택된 12편의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목적, 결과 변수, 주요 결과 및 적용에 대한 통합적 고찰은 추후 발전적인 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반영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좀 더 체계적이며 현장 적용 가능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 론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식을 포함한 아동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적절한 예방 행동을 하도록 돕는다. 본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추후 대상자 요구 중심의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성폭력 예방 교육은 아동 및 청소년이 갖고 있는 성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주며, 성범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아동기부터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가정, 학교와 사회 모두의 공동의 노력과 관심을 통해 성폭력 예방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Notes

No existing or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Moon KJ, Park KM, Sung Y. Sexual abuse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SAP_MobAPP)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2017;26(5):573–589. https://doi.org/10.1080/10538712.2017.1313350.
2. Kim SJ, Kang KA. Effects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C-SAPE) program on South Korean fifth-grade students' competence in terms of knowledge and self-protective behavior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7;33(2):123–132. https://doi.org/10.1177/1059840516664182.
3. Kim SJ, Kang SR, Lee JM. Development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 hybrid appli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8;24(1):109–118. https://doi.org/10.4094/chnr.2018.24.1.109.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2017 Analysis of sex crime tren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cited 2019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jsessionid=X797srOp40qWgjnO16nzqRZ+.mogef10?mid=plc504&bbtSn=104.
5. Kim SJ, Park SJ, Kim SH, Kang KA. Contents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518–530.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18.
6. Lee YH, Han YK, Kim NY. The analysis of awarenes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Focusing on sexual violence policy.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2018;25(1):31–50.
7. Lee SH, Park WJ. Development of standard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late school-age children using Delphi technique.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3;7(4):287–296.
8. Cho YR, Kim JE, Park KM.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between low- and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2):119–127.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2.119.
9. Kim HS, Kang KA, Kim SJ, Kim HW, Moon SY, Park SN, et al. Child Adolescent Health Nursing I 1st edth ed.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17. p. 318–323.
10. Lee HH, Ha JY. Practice and perception of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the myths of mothers and teachers.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3;11(2):41–66.
11. Ha JY, Lee HH. Fear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behavior, and upper elementary school victims' experiences of child sexual violence.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4;12(2):43–65.
12. Fryda CM, Hulme PA. School-based childhoo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An integrative review.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5;31(3):167–182. https://doi.org/10.1177/1059840514544125.
13. Kim SJ, Kang KA, Cho H, Min HY. Comparison of needs about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3):215–226. https://doi.org/10.4094/chnr.2016.22.3.215.
14. Casper 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experience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to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999;7(4):97–112. https://doi.org/10.1300/J070v07n04_07.
15.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promotion of sexual education plan [Internet] Gwangju: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08. [cited 2019 September 24]. Available from: http://www.gen.go.kr/xboard/board.php?mode=view&number=358528&tbnum=352&sCat=0&page=10&keyset=&searchword=.
16.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7. Gough D. Weight of evidence: A framework for the appraisal of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evidenc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007;22(2):213–228. https://doi.org/10.1080/02671520701296189.
18.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9;62(10):1006–1012.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9.06.005.
19. Haßler B, Major L, Hennessy S. Tablet use in schools: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for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015;32(2):139–156. https://doi.org/10.1111/jcal.12123.
20. Yoon JH. A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10;23(3):59–78.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Child sexual abuse: A silent health emergency [Internet] Africa: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Committee for Africa; 2004. [cited 2019 September 11].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handle/10665/1878.
22. Letourneau EJ, Nietert PJ, Rheingold AA. Initial assessment of stewards of children program effects on child sexual abuse reporting rates in selected South Carolina counties. Child Maltreatment 2016;21(1):74–79. https://doi.org/10.1177/1077559515615232.
23. Rudolph J, Zimmer-Gembeck MJ, Shanley DC, Hawkins R.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opportunities: Parenting, programs, and the reduction of risk. Child Maltreatment 2018;23(1):96–106. https://doi.org/10.1177/107755951772947979.
24. Yoon J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08;20(3):231–258.
25. Zwi K, Woolfenden S, Wheeler DM, O'Brien T, Tait P, Williams KJ. School-based education programme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sexual abus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7;18(3):CD004380.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4380.pub2.
26. Guse K, Levine D, Martins S, Lira A, Gaarde J, Westmorland W, et al. Interventions using new digital media to improve adolescent sexu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2;51(6):535–543.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2.03.014.
27. Darcy AM, Lock J. Using technology to improve treatment outcom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17;26(1):33–42. https://doi.org/10.1016/j.chc.2016.07.010.

Appendices

Appendix 1. Citations for Studies Included in This Study

1. Ha JY, Lee HH. Fear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behavior, and upper elementary school victims' experiences of child sexual violence.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4;12(2): 43-65.

2. Jang HJ, Park KM. Elementary school high grade students'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1):45-54.

3. Jung MJ, Song HJ. A study of developing and effect sex education programs for grade five and six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Human Ecology. 2000;1(2):133-161.

4. Kim SJ, Park SJ, Kim SH, Kang KA. Contents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518-530.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18

5. Kim SJ, Kang KA, Cho H, Min HY. Comparison of needs about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3): 215-226. https://doi.org/10.4094/chnr.2016.22.3.215

6. Kim SJ, Kang KA. Effects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C-SAPE) program on South Korean fifth-grade students' competence in terms of knowledge and self-protective behavior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7;33(2):123-132. https://doi.org/10.1177/1059840516664182

7 Kim SJ, Kang SR, Lee JM. Development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 hybrid appli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8;24(1): 109-118. https://doi.org/10.4094/chnr.2018.24.1.109

8. Lee HH, Ha JY. Practice and perception of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the myths of mothers and teachers.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3;11(2):41-66.

9.Moon KJ, Park KM, Sung Y. Sexual abuse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SAP_MobAPP)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2017;26(5):573-589. https://doi.org/10.1080/10538712.2017.1313350

10. Yoon IK, Jeon SK, Park JY.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9;22(1):73-92.

11. Yoon JH. Elementary school teache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08;20(3):231-258.

12. Yoon JH. A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10;23(3):59-7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flow diagram of the articles retrieved and selection process.

Table 1.

Summary of Studies Included in the Integrative Review (N=12)

Study
Design
Purpose Outcome variables Major findings Implication
Author (year) Research design Sample size, N Participants'
1. Ha & Lee (2014) Descriptive study 611 4th to 6th grade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ar of child sexual abuse, preventive behavior, and child sexual abuse experience Fear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behavior, and experiences of child sexual violence Children with fear of sexual abuse tend to have more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children having preventive behaviors were less likely to be sexually victimize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tructured in ways that help them to recognize sexual violence and take preventive action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especially gender).
2. Jung & Park (2003) Descriptive study 365 4th to 6th grade To identify sexual violence perceptions and sexual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ual violence perception and sex-related knowledge The mean score of sex-related knowledge was 8.93 (total of 20) and the average score of misconception on sexual violence was 2.30 (total of 4.50). The scor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Developing sexual abus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ssential.
3. Jung & Song (2000) Quasi-experimental design E:71, C:72 5th to 6th grade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x education program for 5th to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The provided education increased th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changed their attitudes towards sex in a positive way. After implementing the sex education program, subjects recognized changes i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sex.
4. Kim, et al. (2013) Descriptive study 93 3rd to 6th grade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xual violence perceived by students. Sexual violence perception Students wanted practical sexual education (12.2%) and they wanted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program using videos, lectures, plays, games, and virtual experiences. The program and content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sexual abus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5. Kim, et al. (2016) Descriptive study 162, 1,372 Teachers and 4th to 6th grade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e need for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bout 93.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6.9% of teachers answered that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s necessary. However, only 53.2%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that they received. When developing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e should consider their educational needs.
6. KIm & Kang (2017) Quasi-experimental design E:39, C:50 5th grad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Training (C-SAPE) program Knowledge and selfprotective behaviors of child sexual ab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difference (t=3.35, p=.001)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the self-defensive behavior category (t=2.64, p=.010). The C-SAPE program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efense behavior against sexual abuse.
7. Kim, et al. (2018) One group posttest design 10 1st to 3rd grade To develop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a hybrid application - The content wa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definition of sexual abuse, methods of coping with sexual violence, situational responses, areas of high risk of sexual abuse, related groups, and a follow-up quiz.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using hybrid apps can be an effective way to educate elementary students.
8. Lee & Ha (2013) Descriptive study 822, 389 Mothers and teachers To analyze the myths of mot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hild sexual abuse to implement and recognize child preventive education Myths on child sexual abuse and practice/per ception toward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Mothers have had more myths about child sexual abuse tha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ent and teacher roles to make child preventive education more effective.
9. Moon, et al. (2017) Quasi-experimental design E1:15, E2:15, C:15 2nd grade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xual Abuse Prevention (SAP) mobile application. Recognition of sexual abuse and skills to avoid sexual abuse After the app intervention, the awareness and skills to avoid sexual abuse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raining and four weeks late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SAP_MobAPP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at school.
10. Yoon, et al. (2009)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60 3rd to 4th grad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ex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participants' sexual knowledge and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 sex. The school should systematically implement all the sex education programs from the lower grades to the upper grades so that effor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should be made.
11. Yoon. (2008) Descriptive study 1,210 Teachers To analyze the needs and recognition of education to prevent childhood sexual abuse Needs for recognition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content The content and form of education to prevent sexual abuse of children varied greatly according to age, gender, years of work, work area, and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Exp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provide proven programs and materials.
12. Yoon. (2010) Descriptive study 300 2nd to 6th grade To identify students'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exual prevention education effects were low in boys and upper grades (4th to 6th gra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ender and grad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wareness an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of sexual abuse for children.

E=Experimental group; C=Control group.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N=12)

Variables Categories n (%)
Participants Above 3rd grade 7 (58.3)
1st to 3rd grade 2 (16.8)
All grades 1 (8.3)
4th to 6th grade, including teachers 1 (8.3)
Teachers 1 (8.3)
Publication year 2000~2010 5 (41.7)
2011~2015 3 (25.0)
2016~2018 (June) 4 (33.3)
Major field of researchers Nursing 5 (41.7)
Child welfare 3 (25.0)
Education 3 (25.0)
Others 1 (8.3)
Research design Descriptive study 7 (58.3)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3 (25.0)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2 (16.7)
Sample size Below 100 5 (41.7)
101~300 3 (25.0)
301~500 1 (8.3)
501~1,000 2 (16.7)
Above 1,001 1 (8.3)
Ethical considerations Yes 7 (58.3)
NA 5 (41.7)

NA=Not applicable.

Table 3.

List of Reviewed Articles on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N=12)

No. Authors Title Journal Gough's WOE (a,b,c-d)
1 Ha & Lee (2014) Fear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behavior, and upper elementary school victims' experiences of child sexual violence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2(2);43-65. H,H,H-H
2 Jung & Park (2003) Elementary school high grade students'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1);45-54. H,H,H-H
3 Jung & Song (2000)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s for grade 5 and 6 student of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Human Ecology. 1(2); 133-161. H,H,M-H
4 Kim, et al. (2013) Content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518-530. H,H,H-H
5 Kim, et al. (2016) Comparison of needs for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3);215-226. H,H,H-H
6 Kim & Kang (2017) Effects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C-SAPE) program on South Korean fifth-grade students' competence in terms of knowledge and self-protective behavior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33(2);123-132. H,H,H-H
7 Kim, et al. (2018) Development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 hybrid appli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109-118. H,H,H-H
8 Lee & Ha (2013)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the myths of mothers and teachers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1(2);41-66. H,H,H-H
9 Moon, et al. (2017) Sexual abuse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SAP_MobAPP)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26(5);573-589. H,H,H-H
10 Yoon, et al. (2009)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a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1);73-92. H,H,H-H
11 Yoon (2008)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s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231-258. H,H,H-H
12 Yoon (2010) A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59-78. H,H,H-H

WOE=Weight of evidence; H=High; M=Medium; a=Methodological trustworthiness; b=Methodological relevance; c=Topic relevance; d=Overall scores.

Table 4.

Major Content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5)

No. Author (year) Intervention
Outcome Statistical significance Effect size Concepts
Type & providers Duration/number of sessions (min/session) Control group Objectives Topic Method
1 Jung & Song (2000) Group intervention: sexual education by school health teacher 8 weeks / 8 (50 min) Not provided Sexual knowledge Yes NA Promote a safer attitude toward sex and increase participants' sexual health in a positive direction. 1. The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boys and girls Didactics
2. Pregnancy and childbirth Homework for each individual participants
3. Physiological phenomena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4. Mental health and sex Open-ended question on a provided education
Sexual attitude Yes NA Empowers children by providing competence in terms of CSA-related knowledge and self-protection behaviors. 5. Marriage/family and engaging in a relationship
6. Formation of values about sexuality
7. Sex roles
8. Causes and coping with sexual violence
2 Kim & Kang (2017) Group intervention: C-SAPE intervention by school health teacher 6 weeks / 6 (40 min) Not provided Knowledge of CSA No - Prevent child sexual abuse and ultimately achieve health promo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Understanding C-SAPE Didactics
2. Distinguishing between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touch Group activity
3. Recognizing potential sexual abuse situations for sexual abuse Role-playing
Self-protective behaviors of CSA Yes d=0.62 4. What can I do?
5. Choose the right to refuse and methods to avoid harm
6. How can I seek help
3 Kim, et al. (2018) E-learning based intervention: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by school health teacher 1 week/6 (5 min) Not provided - - - Improved recognition (awareness) and child's skills to avoid sexual abuse situations. 1. Knowing what sexual abuse is Didactics
2. How to prevent sexual abuse in daily life
3. How to deal with sexual abuse in specific situations
4. Information about areas with a high risk of sexual abuse
5. How to acquire sex offender information
6. Wrap-up
4 Moon, et al. (2017) E-learning based intervention: education utilized the SAP_MobAPP by research assistant 3 weeks/8 (40 min) Textbook -based education Recognition of sexual abuse No - Understand and respect oneself and others,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sexual etiquette 1. Classmates at the school Didactics
Skills to avoid sexual abuse No 2. Neighbors on the street
Understand growth and accept changes in their bodies 3. Brother's friend at the playground
4. Strangers at the park near home
Understand the love and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and practice ways to protect themselves from experiencing child abuse. 5. Strangers at home
6. Neighbors in the elevator
7. Cousin at the house rooftop
8. Neighbors at the building stairs
5 Yoon, et al. (2009) Group intervention: sex education program by school health teacher 2 weeks/10 (40 min) Not provided - - - 1. I want to be friends! Didactics
2. Let's follow sex etiquette! Group activity
3. How much do you know about your body?
4. I really am curious!
5. How does the baby grow on her mother's belly?
6. Sexual violence, no!
7. I behave like me and you behave like you.
8. Family together.
9. How can a baby grow up healthy?
10 . Are you being loved?

C-SAPE=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CSA=Child sexual abuse mobile application; SAP_MobAPP=Sexual abuse prevention mobile application; NA=Not applicable.